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풍
마취
몽혼
몽
무감각
혼수
저림
뉴스
"
마비
"(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원자력계의 ‘대부’ 한필순 원자력연 고문 별세
2015.01.26
원로 과학자 한필순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자력연) 고문이 25일 급성 심근경색에 따른 심장
마비
로 별세했다. 향년 82세. 고인은 우리나라의 핵연료 기술 자립과 독자적인 원전 설계기술 확보에 크게 기여해, 국내 원자력계의 ‘대부’로 불려왔다. 고인이 원자력과 인연을 맺은 것은 1982년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약물이 들어 있는 나노섬유를 넣어 생체 부작용을 없앴다. 연구진은 이 전극을 하반신이
마비
된 토끼의 척수에 연결하고, 척수 신경신호를 근육에 연결해 다리를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다. 수술 없이 뇌파를 읽어내는 장치도 개발 중이다. 필자의 연구팀 에서도 등산용 모자처럼 생긴 장치를 ... ...
초소형 3층 건물 만드는 비법
2015.01.11
동작 등의 신호를 온몸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세포다. 신경을 다치면 심한 경우 하반신
마비
처럼 몸의 일부를 쓰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손상된 신경이 다시 재생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에 매달리고 있는 이유도 그때문이다. 이의승 미국 ... ...
난치병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가능해졌다
2015.01.11
관절염을 앓고 있는 쥐는 60일 만에 염증이 가라앉았고, 다발성 경화증 쥐에서는 6일 만에
마비
된 사지가 완전히 회복됐다. 특히 이 경우 면역세포 외에 다른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돼 부작용 역시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팀은 10년 이내에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 ...
카자흐스탄 졸음병 확산, 한번 잠들면 이틀 이상 못 깨어나…
동아닷컴
l
2015.01.08
대한 치료에 집중하며 추가 환자 발생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졸음병의 증세로는 신체
마비
, 방향 감각 및 기억상실 등을 동반한 졸음이 쏟아져 일상생활이 불가능하며 심한 경우 환각증세를 보이고 한번 잠들면 이틀 이상 깨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주민은 이 병의 원인이 인근 우라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가운데 한 명인 미국 브라운대 제럴드 구럴닉(Gerald Guralnik) 교수가 강의 직후 심장
마비
로 쓰러져 78세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미국 아이오아주 시더폴스에서 태어난 구럴닉은 MIT에서 학부를 마치고 하버드에서 괴짜 과학자인 월터 길버트 밑에서 입자물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3 ... ...
성기능 개선 식품서 비아그라 성분이…“즉시 섭취 중단을”
동아일보
l
2014.12.18
동아일보] 인터넷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성기능 개선 식품에서 심장
마비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 성분이 검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성기능 개선 효과가 있다고 광고하는 식품 29개 제품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라포빔(RAPPORTVIM)’ 등 8개 제품에서 이 같은 성분들이 ... ...
우리가 걸을 때 쓰는 근육 몇 개나 될까
2014.12.15
특성 값을 조절하면 근육이 이탈된 경우나 통증으로 불편한 경우를 재현할 수 있어 뇌성
마비
장애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보행에 불편을 겪는 다양한 상황도 재현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제어 알고리즘은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의 수술 후 보행 예측에 사용할 수 ... ...
스티븐 호킹, 그리고 ‘만물의 이론(The Theory of Everything)’
과학동아
l
2014.12.12
호킹 박사를 일약 스타덤에 올린 특이점 이론이 대표적이다. 그가 온몸이 서서히
마비
되는 루게릭병 진단을 받은 건 케임브리지대에서 박사과정에 다니던 21세의 젊은 나이였다. 2년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은 호킹 박사는 당시 여자 친구였던 와일드와 연락을 끊어버린다. 하지만 와일드는 좌절한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약물이 들어 있는 나노 섬유를 넣어 이런 부작용을 없앴다. 연구진은 이 전극을 하반신이
마비
된 토끼의 척수에 연결하고, 척수 신경신호를 근육에 다시 연결해 다리를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다. 수술 없이 뇌파를 읽어내는 장치도 개발 중이다. 박광석 서울대 의대 의공학교실 교수팀은 등산용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