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뉴스
"
멸종
"(으)로 총 858건 검색되었습니다.
뜨는 신혼여행지 ‘레위니옹’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6.12.11
습관이 계속된다면 2040년에서 2100년 사이 지구의 에코 시스템이 무너지고, 인류 일부가
멸종
할 수 있다는 것이다. 4인의 감독은 다큐멘터리 제작을 시작하기 이전까지는 특별히 환경 운동을 하진 않았다. 단지 ‘내 아들이 살아갈 미래에 식량, 물이 고갈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가 있었기에 ... ...
사라지는 생물을 디지털로 기억하는 법
과학동아
l
2016.12.10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 종의 수는 약 1조에 이른다. 하지만 일부 종은 인간에 의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생물학과 덩컨 얼시크 교수팀은 모든 생물 종을 디지털 기록으로 남기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카메라 30개를 이용해 3D로 물체를 스캔할 수 ... ...
물고기는 어떻게 네발동물로 진화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양막류(포유류, 파충류 등)로 급격히 분화했다. 사지동물의 진화과정을 밝히려면 대
멸종
전후 중간단계인 2500만 년 사이에 생성된 화석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런 화석은 지금까지 스코틀랜드 일부 지역에서 단 두 가지 종류만이 발견돼 진화 과정을 파악하기엔 부족했다. ... ...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
과학동아
l
2016.12.01
인상적이었다. 이동준 산림청 산림복지시설사업단 시설과 연구원은 “매미꽃 같은
멸종
위기식물을 우선순위로 수집해서 종자를 보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약재로 무분별하게 쓰이는 식물도 마찬가지다. 겨우살이는 항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향후 자생지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 ...
바닷물 분석해 희귀동물 ‘고래상어’ 개체수 알아냈다
2016.11.22
것으로 결론 내렸다. 또 수컷이 암컷보다 2배가량 많았다. 톰슨 교수는 논문을 통해 “
멸종
위기종을 보호하기 위해 유전 정보를 파악하는 일이 꼭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해양생태계를 지키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
동물병원에서 예방접종을 너무 많이 권합니다. 전부 다 해야 하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1.13
예방 장벽에 무임승차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고 있는 듯합니다. 천연두 바이러스가
멸종
한 이유는 인류 전체가 천연두 예방접종을 해 더 이상 천연두 바이러스가 살 수 없는 환경이 됐기 때문입니다. 덕분에 이제는 천연두 예방접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세상이 왔지요. 이야기가 잠시 옆으로 ... ...
어린이들은 왜 공룡을 좋아할까
2016.11.11
둘째, 공룡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어린이들도 공룡이 아주 오래 전에
멸종
했다는 사실을 압니다. 사라진 거대한 공룡은 아이들에게 신비감을 더해줍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건 '안전한 느낌'을 준다는 것입니다. 공룡은 어린이들이 꿈꾸는 거대하고 위험한 괴물입니다. 하지만 이제 더 ... ...
표범의 추억
2016.11.08
작은 무리가 고립돼 살아가며 동계교배가 자주 일어난 결과로 보인다. 앞으로 이들 종의
멸종
을 막는데 서식지 보호와 함께 무리의 다양성 확보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는 얘기다. 논문을 읽다가 우리나라의 ‘wild leopard cat’의 게놈도 해독했다는 구절을 읽고 순간 우리나라에서 표범을 발견한 건가 ... ...
1만 년 전 털매머드, 자연유산으로 깨어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06
년 전부터 북미대륙 북부와 유라시아대륙 북부에서 번성하기 시작해 1만 1000년 전 즈음에
멸종
됐다고 하네요. ● 실물 표본으로 매머드를 파헤쳐 보자 11월 5일 오후 2시. 문화재지킴이 어린이 기자들이 천연기념물센터에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수도권을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찾아온 기자들은 ... ...
“2020년까지 포유류 3분의 2 줄어든다”
2016.10.30
않다는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연구지역이 지리적으로 서유럽에만 편중돼 있고, 아직
멸종
위기 단계에 있는 동물을 통계에 다수 포함시켰다는 지적이다. 리스 그린 케임브리지대 동물학과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완벽한 결과는 아니며, 다만 정책을 수립할 때 참고할만하다”라고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