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경
변형
전환
개종
변질
변용
뉴스
"
변환
"(으)로 총 1,05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가핵융합연구소 ‘2019년 자랑스런 NFRI인상’에 안무영 책임연구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TBM기술팀장을 맡고 있다. 핵융합 반응 결과물인 중성자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
하고 핵융합 연료 중 하나인 삼중수소를 자체 생산하는 장치를 ‘증식 블랑켓’이라 부른다. TBM은 증식 블랑켓을 시험·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국내 TBM 개발은 선진국에 비해 늦게 시작됐다. 안무영 ... ...
[인사] 한국전기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12.31
◇한국전기연구원 ▽ 센터장 △ 초전도연구센터장 김해종 △ 전력
변환
시스템연구센터장 이종필 △ 디지털에너지시스템연구센터장 김종율 △ 전기의료기기연구센터장 박영진 △ RSS센터장 배수진 ▽ 실장급 △ 대전력시험실장 박승재 △ 미래전략실장 김태현 ...
자외선까지 전기로 바꾸는 태양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그 결과 유연박막태양전지가 가시광과 적외선, 자외선까지의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의 두께를 조절해 소자 표면에서의 반사를 최소화해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설계했다. 장 교수는 “고효율 유연 태양전지는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와 ... ...
골칫덩이 페트병, 의약·화장품 소재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테레프탈산이 갈산, 바닐락산 등 최종 물질로
변환
됐는지 확인하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대표적 플라스틱인 페트병을 의약품이나 화장품 원료 등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세계적인 환경 문제로 떠오른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문제를 ... ...
'신기술 실용화' 촉진…전력선 없는 산악트램 기술에 산업훈장
연합뉴스
l
2019.12.13
때 순간 정전 없이 전력공급이 가능하면서 다수의 직류(DC) 전원을 연계할 수 있는 전력
변환
장치(PCS)를 개발한 ㈜에스엔디파워닉스 이덕호 전무이사에게 돌아갔다. 이를 포함해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판로를 개척한 개인과 단체에 대해 53점의 포상을 수여했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은 ... ...
반도체 공학자·기후 적응 식물 연구자 등 17인 올해 우수 과학자·공학자에
동아사이언스
l
2019.12.12
나노 신소재를 수직으로 쌓아 기존 트랜지스터보다 두께는 10분의 1로 얇으면서 빛
변환
효율은 50배 뛰어난 반도체 트랜지스터를 개발한 유우종 성균관대학교 교수, 자연에 없는 빛 광학 특성을 보이는 메타물질을 이용해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만들 가능성을 보여준 노준석 포스텍 교수, ... ...
시커먼 실리콘 태양전지 투명하게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2
바꿀 수 있게 됐다. 연구팀은 이 투명 결정질 실리콘으로 태양전지를 만들고 광전
변환
효율을 최고 12.2%나 얻었다. 지금까지 다양한 소재로 개발된 투명한 태양전지 중 가장 높다. 광 투과율도 다양하게 조절 가능해 건물의 유리창부터 자동차 선루프까지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제 ... ...
[과학게시판] 2019년 주한외교관 정책 설명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2.11
KERI 광주분원은 광주시의 핵심 산업인 스마트그리드 산업육성을 위한 분산전력 및 전력
변환
시스템 기술 개발,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험인증 업무를 집중 담당하기 위해 총 3만평 규모의 부지로 들어선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6일 광주광역시 북구 GIST 오룡관에서 ‘2020학년도 수시모집 ... ...
[의학게시판] 서울성모병원 아시아 첫 자궁근종로봇수술 1000건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모성보건 통합사례관리, 장애인 건강주치의 등을 알려준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변환
바코드 보이스아이를 별도 적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사례집의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게 했다 ... ...
VR용 초고해상도 OLED, 유리 위엔 올릴 수 없다는 ‘고정관념’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용액을 빠르게 가열하고 용액이 날아가 달라붙도록 했다. 조 박사는 “빛을 흡수해 열로
변환
하는 기술이 중요한데 관련 연구를 진행했던 노하우를 활용해 용액이 기판으로 옮겨갈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찾았다”고 말했다. 조 박사가 고해상도 OLED 패턴을 구현하는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