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감자 많이 먹으면 지구가 건강해진다
2021.08.24
나온 재래종 4배체 감자를 개량해 현대 품종을 얻었고 역시 씨감자로 재배하고 있다(
오른쪽
위). 그런데 최근 게놈 디자인 기법으로 유해한 돌연변이를 최소화한 근교계 감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고 서로 다른 근교계 감자를 교배해 부모보다 우세한 잡종 감자를 얻었다(
오른쪽
아래). 씨앗을 뿌려 ... ...
[전문용어 시대의 우리말](상)어려운 말 고집하는 전문가들
2021.08.23
일이 난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광근(왼쪽)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와 최무영(
오른쪽
)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21일 열린 '쉬운 우리말 쓰기' 자문위원 자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최 교수는 한국 학계에 미국화가 급진적으로 진행되면서 쉬운 용어를 더 쓰지 못하는 ... ...
모더나 백신, 2주 안에 701만 회분 공급…정부 “추석까지 3600만 명1차 접종 물량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1.08.22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
오른쪽
)은 2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모더나 백신 701만 회분을 공급받기로 했다고 밝혔다. 온라인 브리핑 캡처 국내 공급 차질이 빚어졌던 모더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70 ... ...
IAEA, 9월 일본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안전성 평가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1.08.22
히로시 일본 경제산업성(
오른쪽
)은 19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의 국제원자력기구(IAEA) 본부를 방문해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과 회담을 가지고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의 안전성 조사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제공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다음 달 일본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식물 유래 코로나19 백신이 온다
2021.08.17
강한 면역반응을 일으켜 중화항체가 잘 만들어진다. 왼쪽은 독감바이러스 입자이고
오른쪽
은 독감백신 VLP다. 겉모습을 보면(도식적 표현(a)과 전자현미경 이미지(c)) 지질막 외투(붉은색)에 HA(녹색)이 박혀있는 모습이 서로 꽤 비슷하지만 단면을 묘사한 그림(b)을 보면 VLP는 게놈(엉킨 실)은 물론 ... ...
'동의 없이 환자 폐 절개' 의사 집행유예
연합뉴스
l
2021.08.15
폐 조직검사를 진행하며 당초 소량의 폐 조직을 채취하기로 했던 것과 달리 B씨의 폐
오른쪽
윗부분인 우상엽을 모두 잘라냈다. A씨는 조직검사 과정에서 B씨 증상 원인을 '악성 종양세포가 없는 염증'으로 판단했고, 만성 염증으로 폐 일부의 기능이 떨어져 회복이 어렵다고 봐 환자 동의 없이 해당 ... ...
자동심장충격기로 '골든타임' 지키려면…"단단히 밀착해 부착"
연합뉴스
l
2021.08.15
땀이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에서 패드를 부착해야 한다. 두 개의 패드 중 하나는
오른쪽
빗장뼈(쇄골) 아래에 부착하고 다른 하나는 왼쪽 가슴 아래의 중간 즈음에 부착한다. 패드의 표면에는 부착할 위치가 그림으로 표시돼 있으므로 참고하면 된다. 기기가 심전도를 분석할 때는 환자와 ... ...
'지금 금성에선'…태양·수성 탐사선 근접비행 이미지 공개
연합뉴스
l
2021.08.13
존재감을 나타냈다. 금성 뒤로 황소자리의 밝은 별 두 개가 반짝이다가 사라지는데,
오른쪽
이 '오미크론 타우리'(Omicron Tauri)이고 왼쪽은 사중성계인 '크시 타우리'(Xi Tauri)다. 솔라 오비터가 지나가고 33시간 뒤인 10일 밤에는 ESA와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공동 제작한 베피콜롬보가 ... ...
물방울의 움직임으로 전력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0
왼쪽은 물방울에 전기를 가하면 표면장력이 변화며 물방울이 미끄러지는 현상,
오른쪽
은 이를 역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다. 고려대 제공 물방울에 전기를 가하면 표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역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표면수력발전 기술이 개발됐다. 천홍구 고려대 바이오의공학부 교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낮 폭염 식히는 수동주간복사냉각
2021.08.10
중적외선을 내보내(thermal emission) 주변보다 3~6℃ 낮은 복사냉각 효과를 냈다(아래
오른쪽
). 사이언스 제공 2000년대 들어 수동주간복사냉각을 효과적으로 하는 물질을 만드는 연구가 진행돼 성공하기도 했지만 상용화에는 이르지 못했다. 물질을 만들기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