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으)로 총 6,3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게시판] 생명연, '제5회 시험·연구용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 콘텐츠 공모전'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4.15
-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제5회 시험‧연구용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 콘텐츠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총상금 약 3000만 원이 걸린 공모전에는 국민 누구나 개인 또는 3인 이하 팀으로 참여할 수 있다. 영상-일반, 영상-숏폼, 카드뉴스, 포스터, 안전실천보고서 ... ...
- "평화주의자 보노보, 생각보다 공격적"동아사이언스 l2024.04.14
- 보노보가 침팬지보다 공격적인 행동을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침팬지만큼 인간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보노보는 진화론에서 인류를 해석할 때 연구하는 주요 대상이다. 미국 미네소타대, 에모리국립영장류연구센터, 하버드대 등 연구팀이 보노보와 침팬지 수컷 사이의 공격성 차이를 ... ...
- 뇌 없이 운동 학습하고 기억하는 메커니즘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4.04.12
- 비활성화했을 때는 학습한 운동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행동을 보였다. 반대로 En1 유전자를 발현하는 신경세포를 활성화하면 학습한 내용을 기억하는 속도가 향상됐다. 연구팀은 “운동 학습과 기억은 뇌 회로에 국한돼 일어나는 게 아니다”며 “척수 손상을 입은 환자의 운동 능력을 ... ...
- 알츠하이머 위험 절반 이상 낮추는 유전자 변이 발견동아사이언스 l2024.04.11
- 건강한 사람과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혈액-뇌 장벽 내 피브로넥틴 수치에는 APOE-e4 유전자와 상관 없이 큰 차이가 있다"며 "피브로넥틴을 감소시키는 약물은 알츠하이머병과의 싸움에서 중요한 진전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 젊어진 ‘미세아교세포’로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동아사이언스 l2024.04.11
-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김동운 교수는 “뇌 내 미세아교세포로 약물 또는 유전체 전달 조절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이를 확장해 혈관뇌장벽 통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초음파활용 약물전달기술, 또는 나노입자 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 ...
- 암세포만 골라 '유전자 가위'로 교정 치료하는 항암신약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4.08
-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치료제를 전달하고 항암 효능을 보였다는 것이 의의"라며 "생체 내 유전자 교정 치료 및 다양한 암종에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 막스플랑크연구회-IBS, 국제협력 강화 위한 포럼 개최·MOU 체결동아사이언스 l2024.04.08
- 막스플랑크 융합연구소장을 역임한 크래머 회장이 연세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전체 전사: 분자 메커니즘부터 세포 조절까지’를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이어 ‘우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인지과학에서 뇌의 공간’을 주제로 도엘러 부회장의 강연도 진행된다. 2부 행사에서는 라운드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우리도 가질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4.04.06
- 약물은 후천적으로 영구치를 잃은 사람에게 '제3의 치아'를 찾아주는 목적이 아닙니다. 유전적인 문제로 영구치가 정상보다 부족한 선천적 무치증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입니다. 오늘날 치아가 6개 이상 없는 선천성 무치증 환자는 전 세계 인구의 약 0.1%에 달합니다. 무치증은 임플란트로 치료하는 ... ...
- 갈색 판다 탄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4.04.06
- 사실은 유전학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발견"이라고 전했습니다. 앞으로 연구팀은 Bace2 유전자에 일부 염기가 없는 것이 어떻게 멜라노솜 크기와 개수를 바꾸는지 구체적으로 연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4월 1일, 갈색 판다 탄생의 ... ...
- "성인 비만 위험 6배 높이는 희귀 유전자 변이 2개 발견"연합뉴스 l2024.04.05
- 것은 이들 변이가 아동 비만이 아닌 성인 비만과 관련이 있다는 점"이라며 "이 결과는 유전학과 신경 발달, 비만 간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Genetics, John R. B. Perry et al., 'Protein-truncating variants in BSN are associated with severe adult-onset obesity, type 2 diabetes and fatty liver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