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라스틱
플래스틱
합성수지
플라스틱 제품
푸라스틱
plastic
뉴스
"
플라스틱
"(으)로 총 1,081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안화폐로 떠오른 똥본위화폐 전시회에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일기장을 태운 재와 버려지던 음식물 쓰레기 이용한 작품과 오염을 일으키는 세재와
플라스틱
을 이용해 만든 작품들이 전시된다. 7일 오후 4시에는 전시 오픈 기념 설명회가 진행되며 13일 오후 4시에는 기념공연이 열린다.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구 연구원은 “이번 전시는 2018년 UNIST ... ...
잘 찢어지는 쓰레기봉투 안녕...나일론처럼 질긴 친환경 비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한국화학연구원이 개발한 나일론처럼 질긴 생분해성 비닐봉투. 6개월이면 100% 미생물에 의해 분해돼 친환경적이다. 사진제공 한국화학 ... 희망한다”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오 선임연구원은 “새로 개발한 소재가 국내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 ...
깨져도 다시 살아나는 ‘좀비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2019.04.03
개발한 소재는 구리가 첨가된 황화아연을 포함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다. 이 소재를 이용해 제작한 디스플레이는 전류에 의한 손상뿐만 아니라 자르거나 잡아당겨 뜯어내는 등 물리적으로 손상돼도 복구가 가능하다. 평균적으로 3분 뒤에 복구가 시작돼 30분 정도면 ... ...
낙동강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양 연간 53t…해양유입양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150여년만에 전 인류를 위협하는 문제가 되고 있다”며 “이번 콘퍼런스를 시작으로 미세
플라스틱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심원준 해양과기원 남해연구소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생명공학연구원 제공 ... ...
‘과학계 어벤저스’, 7인을 주목하라
과학동아
l
2019.03.29
특훈교수는 한국 과학자의 국제적인 영향력을 확대해나가는 연구자이다.
플라스틱
을 만들거나 분해하는 미생물이 주요 업적이다. 미생물로 유용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시스템 대사공학’의 창시자가 된 그는 관련된 국제학술지 두 곳의 편집장도 맡고 있다. 이 교수는 2016년부터 세계경제포럼 ... ...
토양 속 미세
플라스틱
, 생물 움직임 방해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국제환경’ 1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미세
플라스틱
에 의한 토양 내 톡토기의 움직임 저해 메커니즘을 나타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 ...
美·사우디 방해로 인위적 기후조작 기술 규제 끝내 불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내자 ‘2030년까지 의미 있는 감소를 추진한다’로 문구를 바꿨다. 노르웨이가 해양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 세계 차원의 전략을 수립하자고 제안한 의제도 무산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의 한 개발도상국 대사는 “미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여러 환경 의제가 지연되길 원한다”고 비난했다 ... ...
나방 눈 구조 모방해 비가 오나 해가 뜨나 전기 생산하는 유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일으키는 ‘분극 현상’을 이용해 적은 양이지만 전기를 생산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플라스틱
빗을 머리에 문지르면 정전기가 생긴다. 이는 한 쪽에 양(+)전하가, 반대쪽에 음(-)전하가 생기는 ‘분극 현상’ 때문이다. 연구팀은 물방울이 나노필라 구조를 갖는 유리 표면 위에서 이동할 때에도 ... ...
[과학게시판] 과학놀이 콘텐츠 공모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과학을 배울 수 있는 창작물을 겨루는 행사다. 지난해 첫 대회에서는 위아래가 뚫린
플라스틱
통 안에 프로펠러를 두고 위에서 양초를 태우면 프로펠러가 천천히 회전하도록 하게 해 대류 현상을 보여주는 작품 '눈으로 보는 대류 현상'이 대상을 받았다. 참가 희망자들은 신청서와 함께 제작할 ... ...
제23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에 이상엽 KA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페트(PET)의 원료인 방향족폴리에스테르를 만들었다. 2016년에는 쉽게 분해되는
플라스틱
을 대장균으로 만들었다. 지난해 1월에는 페트를 분해하는 미생물의 효소 구조를 밝히고 성능을 높이기도 했다. 그의 연구는 지난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이 선정한 2018냔 10대 과학기술뉴스 연구개발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