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환
유통
구르기
윤전
선회
대출
대전
뉴스
"
회전
"(으)로 총 1,08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직업 '농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7
기계를 달면 물을 주고 로봇팔을 달면 수확을 하도록 만들 거랍니다. 이동시 부드럽게
회전
하지 않아 실패한 1차 로봇(위). 하병욱 씨가 2차 로봇을 만들고 있다(아래). 하병욱(농부와 로봇) 제공 Q 실천에 옮긴 계기가 있나요? 대학 때 네덜란드에서 1년 동안 농장 실습 교육에 참여했어요. 이때 ... ...
소니 아이보 울릴 로봇 고양이 한 마리 키워볼까?
2018.11.16
코딩을 통해 인공지능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프로그래밍으로 걷기나 좌/우
회전
과 같은 짧은 명령을 지시할 수 있습니다. 니블 키트를 활용하는 사람들은 어떤 프로그래밍과 어떤 하드웨어를 더하느냐에 따라 독창적인 고양이 로봇을 완성시킬 수 있는 것이죠. OpenCat 프로젝트에 ... ...
고정관념 깬 의자+운동기구 '두바이 디자인 위크'서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모두 활용할 수 있”"고 말했다. 그는 “단순하지만, 운동 속도에 따라 LED 빛이
회전
하게 해 동기를 유발하는 장치로 썼다”며 “새로우면서도 예쁘고, 생활을 변화시킨다는 점이 전시에 선정된 비결 같다”고 말했다. 스툴디는 이 대회가 수여하는 주요 상 중 하나인 ‘프로그레스상(Progress prize ... ...
'오무아무아’에 대한 하버드대 과학자들의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한다. 오무아무아에서 나온 빛을 분석한 결과 조건에 따라 6~8시간정도 간격으로
회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변 진동을 무시한 결과다. 평균값은 태양 근처를 지날 때도 큰 변함이 없었다. 오무아무아를 혜성으로 단정하기 어려운 이유다. 성간물체 오무아무아가 태양계에 진입해 빠져나가는 궤적 ... ...
미래 메모리 기술의 결정체 '스커미온 입자' 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자기장 없이도 전자가 가해진 전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휘는 현상이었다. 이는 스핀의
회전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스커미온이 만든 결과로 추정할 수 있다. 연구팀은 곧바로 확인에 들어갔다. 중국 고자기장연구소와 공동연구를 통해 이 재료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던 스커미온의 크기를 직접 ... ...
우리은하, 100억년전 위성은하 먹고 자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등 비슷한 면이 많았다. 현재 밤하늘에 보이는 가이아 엔켈라두스 출신 별들도 거꾸로
회전
하는 궤적을 보였다. 헬미 연구원은 “엔켈라두스는 그리스 신화의 거인으로 시칠리아의 에트나 산에 묻혀 지진을 일으키는 인물”이라며 “이번 연구로 가이아의 데이터에 깊이 묻혀 있던 진실이 ... ...
“10년 전 ‘자성 그래핀’ 주변 반응 냉담했지만…지금은 함께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다양한 방향을 갖는 특성을 설명하는 모델이다. 핵스핀은 자성을 띤 원자의 중심에서
회전
하는 막대자석에 비유할 수 있다. N극과 S극의 위치에 따라 위(↑) 또는 아래(↓) 방향을 갖는다. 또 초전도 자석 같은 다른 물질을 가까이 놓고 근접효과를 실험하거나 여러 층의 자성 반데르발스 물질을 ... ...
2600개 외계행성 찾은 케플러 우주망원경 '영면'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맞이하진 않는다. 대신 태양으로부터 약 1억5000만㎞ 떨어진 궤도를 침묵 속에서 홀로
회전
하게 된다. 왜행성 세레스의 궤도를 돌며 탐사하고 있는 소행성탐사선 돈(DAWN)이다 -미국 항공우주국 제공 인류 최초의 소행성 탐사선 돈(DAWN)도 케플러처럼 지구와의 교신이 끝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
공장 초미세먼지 90%이상 줄이는 복합집진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9
결합해 미세먼지를 2중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원통형 모양의 구조를 빠르게
회전
시켜서 내부 공기의먼지가 원심력에 의해 원통 밖으로 분리되게 하는 장치를 ‘사이클론’이라고 한다. 기존의 사이클론은 새어나가는 공기가 많아 내부 압력이 많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에너지 손실이 ... ...
[여기에 과학]시조새와 공룡의 진화적 차이는 '이빨'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전기 진동기의 진동수를 변화시켜 원운동하는 입자의 반지름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회전
하게 만드는 입자가속기의 일종입니다. 이를 이용한 현미경 분석법을 통해 시조새 고유의 3차원적 특징과 공룡의 차이점을 분명하게 확인했다는 것입니다. 8번째 시조새 화석인 아르카이오프테릭스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