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스페셜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저2호, 41년 날아 인터스텔라로 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우주 공간으로 떠날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10일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국
지구물리학회에서 보이저2호가 심우주에 진입한 것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보이저2호는 지난 1977년 8월 20일 쌍둥이 탐사선인 보이저 1호보다 일찍 발사됐다. 보이저1호는 그보다 1 ... ...
中 아무도 못 가본 달 뒷면으로 '대장정'… ‘창어 4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예정이다. - 자료: 중국국가항천국·중국과학원·
미국항공우주국
그동안 꾸준히 달에 탐사선을 보내온 중국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달과 지구 사이에 오작교를 의미하는 ‘췌차오’라는 이름의 통신중계위성을 띄웠다. 췌차오는 올해 6월 발사돼 지구에서 45만5000㎞ 떨어진 헤일로 궤도에 ... ...
우주발사체용 로켓엔진이란 무엇인가…10개국만 보유한 극비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얻는 새로운 로켓도 개발되고 있다. 지난 9월
미국항공우주국
(NASA)는 ‘첨단 전기추진 체계’로 알려진 이온 로켓 엔진 시스템이 초기 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②신뢰성의 상징 아리안스페이스가 세대교체 감행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0.27
발사체 ‘아리안 5’가 하늘로 치솟았다. 유럽
우주국
(ESA)와 일본
항공
우주연구개발기구(JAXA)가 공동 개발한 역대 세 ... 일본의 주력 발사체 H-2A는 39번 발사에 38번 성공,
미국
스페이스X의 팰컨 9이 62번 발사에 61번(부분 성공 1회 포함) 성공해 모두 성공률은 비슷하다. 하지만 22년, 100번의 발사를 한결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①3억원에 위성 쏜다…소형위성 발사시장 장악한 민간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참여하고 있다. 스페이스X와 보잉 등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와 협력해 2019년 내로 각각 2명의 우주인을 ISS에 보낼 준비를 하고 있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가 세운 블루오리진은 2020년 발사를 목표로 신형 화물 우주로켓 ‘뉴 글렌’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높이 82m의 초대형으로 45t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양과 현재 상태를 추정한 논문이 실렸다.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롤랜드 게이어 교수를 ... 논문 해프닝이 떠오른다. 당시 미
항공우주국
(NASA)은 정말 놀라운 연구결과를 발표하겠다고 예고했고 며칠 뒤 기자회견에서 DNA이중나선 골격에 인 대신 비소를 이용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고 밝혀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양자컴퓨터가 처음 하드웨어로 등장한 건 1995년
미국
표준기술연구원(NIST)이 전기장으로 이온을 띄우고 ... ‘디웨이브2X’를 도입하기도 했다. 미
항공우주국
(NASA) 에임스 연구센터에 설치된 디웨이브 양자컴퓨터. -NASA 제공 이 컴퓨터에 적용된 양자 어닐링 기술은 큐비트 신호를 처리하는 양자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나이인 48세에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1968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린스턴에서 물리학자 부부의 ... 전공했다. 공부에 시큰둥하던 진은 방학 때 미
항공우주국
(NASA)에서 인턴을 하며 물리학자들이 연구 모습을 지켜보고 물리학에 진지하게 접근하기 시작했다. 시카고대에서 초전도체 연구로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
2016.11.01
마오는 흥분을 감추지 못한다. 그러면서 현재 미
항공우주국
(NASA)에서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을 ... 이뤄져 있어 VLA보다도 감도와 해상력이 높다.
미국
오클라호마대 물리학·천문학과 존 토빈 교수팀과 다국적 공동연구팀은 지구에서 230파섹 떨어진 L1448 IRS3B(역시 페르세우스 영역에 속한다)가 ... ...
일자리 부족하고 경쟁도 심해… 위기의 젊은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6.10.30
크고 보존 상태가 좋은 크레이터 중 하나다. ‘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탐사선 ‘중력 복원 및 내부 실험실(GRAIL·그레일)’을 이용해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메어 오리엔탈에 관한 새로운 연구 논문 2편을 ‘사이언스’ 28일자에 실었다. 보통 크레이터는 충돌이 일어날 때 땅이 원 모양으로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