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배
선진자
선진사회
사회
스페셜
"
선진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창-오송에는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11.24
“오창과 오송이 바이오의약 분야 특성화 도시가 되려면 기업의 생산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서야 합니다. 관심 분야가 겹치지 않으면 시너지 효과는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기업 연구소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형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창총괄본부 ... ...
“농식품산업기술에 ‘씽크탱크’가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09.11.11
앞으로 무엇을 먹고 살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며 “플랜-두-씨(plan-do-see) 등
선진
화된 R&D기법을 도입해 정교하게 관리하여야 R&D투자의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모든 기술은 ‘농업’으로 통한다…융·복합 연구의 가능성 “농식품산업은 먹는 것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 ...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과학을 선택한 인생이 행복해” 김은경 연세대 화공생명학과 교수 “어렸을 때부터 과학을 좋아했고 그래서 과학자가 되었죠. 오르내림도 있었지만 과학을 한 덕분에 평생 즐겁게 살았어요. 지금도 과학 하는 사람들과 만나면 ‘우린 참 행복하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연구 결과로 이어진다’ ... ...
R&D전쟁 잘 하려면 ‘전략지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27
또 피인용지수 30위 안에 드는 우수한 논문도 종종 나온다. 그러나 기초연구의 비중이
선진
국에 비해 낮은 편이라는 것이 문제다. 대학 R&D에서 기초연구를 풍성하게 해야 산업적으로 파급될 가능성도 크기 때문. 전 센터장은 “대학이 중점적으로 해야 할 것은 기업에서 하지 않지만 국가에서 필요한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미국하버드 의대 샹카 교수와 함께 한양대 RNAi 연구실에서 찍은 사진. 출처 : 한양대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이 중요해” “정상세포에게 치료약물은 오히려 독일 수 있어요. 현재 전 세계적인 추세는 어떻게 하면 표적세포에게만 약물이 작용하게 할 것이냐는 거죠. 약물전달도 ... ...
“국회에 생명공학자 의견 수렴할 의원모임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9.29
원내대표 대행 2008년 국회 미래전략 및 과학기술특별위원회 위원장 2009년~현재 자유
선진
당 정책위원회 의장 --------------------------------------------------------------------------------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향후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연구가 선결되어야 한다는게 한 교수의 지론이다. 줄기세포 분야에서 국내 연구 수준은
선진
국에 비해 모든 것이 부족하다고 한 교수는 지적한다. 특히 그가 문제 삼는 것은 인력부족이다. 한용만 교수는 “우리나라는 줄기세포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내놓을만한 논문이나 특허를 가지고 있지 ... ...
“신약개발에 1조원 든다는 얘기는 과장”
동아사이언스
l
2009.09.12
1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서울 회의실에서 제8회 BT 전문가 좌담회가 열렸다.신약시장에 뛰어들려는 사람들을 겁먹게 만드는 이야기가 있다. 연구개발비 1조원, 성공확률은 5% 미만이라고들 한다. 이 말은 사실일까. 신약개발 산업의 어려움을 이야기 할 때 누구든지 인용하는 공식같은 말이다. 그 ... ...
“BT산업 육성의 선결조건은 융복합에 강한 인재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09.09.02
이세경 UST 총장“미래는 융합이 대세입니다. 특히 생명공학 분야가 그렇습니다. 신약개발 등 연구할 것은 많지만, 막상 제품화 되면 기계, 화학 전공자들의 할일이 더 많아집니다. 결국 융복합에 강한 인재가 바이오산업에 강할 수밖에 없지요.” 이세경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총장은 생명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연구는 사람이 합니다. 함께 연구할 동료들을 아끼고 사랑해야 성과가 있습니다. 아직 우리나라 과학계는 인력이 부족해요. 이런 부분을 정부에서도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 ” 사람의 질병 유전자 연구와 초파리 연구라면 국내에서 둘째가라면 서럽다는 정종경 KAIST 교수. 정 교수는 2006년 초파리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