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염
영향
발병
스페셜
"
전염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엔 "한국, 코로나 추적 위한 개인정보 수집 좋은 사례"
연합뉴스
l
2020.06.12
케이 유엔 의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이 이달 제44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하는 '
전염
병 위기와 표현의 자유'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나와 있다. 케이 보고관은 코로나19가 확산하는 상황에서 확진자와 접촉자를 파악하는 수단의 필요성이 커졌다면서 이는 공중보건 관점에서는 전적으로 ... ...
美, 모더나·옥스퍼드대-아스트라제네카·존슨앤드존슨 코로나 백신 3상 임상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6.11
지원해 3상 임상 연구를 진행할 계획을 밝혔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및
전염
병연구소(NIAID) 소장은 10일 CNN과 인터뷰에서 3개 민간 제약사의 실험용 백신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CNN에 앞서 미국 정부가 모더나와 옥스퍼드대-아스트라제네카, ... ...
방역당국이 첫 언급 코로나19 '2차 공격률'이란..."환자 한명이 2차감염 유발하는 수치"
동아사이언스
l
2020.06.10
신규 감염자의 수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거의 유사하다”고 말했다. 다만 차이점은 R0는
전염
병 사태 초기에 사용하는 척도라는 것이다. 이효정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은 “R0는 방역 정책이 없을 경우의 전파력을 따진 것”이라며 “감염병 사태 초기에사용된다”고 말했다. 또 2차 ... ...
"무증상 전파 적다"→"아직 모른다" WHO 하루만에 말 바꾸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6.10
정례브리핑에서 “WHO가 얘기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무증상이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보다
전염
력이 낮다는 것이지, 무증상이라고 해서 전파력이 없다는 얘기는 아닌 것으로 해석을 하고 있다”면서도 무증상 환자의 ‘2차 공격률’은 증상이 있는 사람보다 낮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2차 공격률은 ... ...
미 연구진 "코로나19, 작년 8월 발생 가능성"…중 "황당한 주장"(종합)
연합뉴스
l
2020.06.09
9 확진자가 나왔다고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했지만, 공식 발표보다 훨씬 앞서 이미
전염
병이 유행하고 있었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이와 관련, 중국 당국은 브라운스타인 교수팀의 주장이 황당하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9일(현지시간) 정례 ... ...
방역당국 "무증상이라고 전파력 없는 건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6.09
정례브리핑에서 “WHO가 얘기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무증상이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보다
전염
력이 낮다는 것이지, 무증상이라고 해서 전파력이 없다는 얘기는 아닌 것으로 해석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WHO가 인용한 논문에서 언급하는 2차 공격률이라는 지표를 소개했다. 2차 ... ...
WHO "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
전염
력 거의 없어" 전문가들 "그래도 경계 늦추지 말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6.09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무증상 또는 경증 상태에서도 은밀하게 타인을
전염
시키는 ‘스텔스 바이러스’”라며 "이런 특성을 주시하고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WHO의 주장이 실제 사실이라면 코로나19 방역 정책에 큰 수정이 필요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재 ... ...
코로나19 종식 열쇠 '집단면역' 갈 길 멀다...스페인 "면역인구 아직까지 5.2%"
동아사이언스
l
2020.06.05
부분이
전염
병에 대한 면역을 가진 상태를 뜻한다. 인구 내 약 60~70%가 면역력이 있으면
전염
병의 전파가 느려지거나 멈추게 된다는 점에서 집단면역으로 불린다. 전파력이 높은 감염병일수록 집단면역 형성이 중요해진다. 공기전파가 가능한 홍역의 경우 인구의 95%가 면역력을 갖춰야 집단면역이 ... ...
인간의 토지 사용 변화가 코로나 확산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5
발표했다. 인수공통감염병은 사람과 동물 사이에서 상호 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한
전염
성 질병으로 20세기 들어 사람에게 발생하는 신종 감염병의 75% 이상이 여기에 해당한다. 전문가들은 이런 신종감염병 증가의 배경으로 인간의 활동에 주목했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변화는 인간이 사용하는 ... ...
[과학게시판] 유은혜·최기영 “과학기술 나눔운동 발대식” 참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03
지역사회의
전염
병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놓고 경쟁했다. 대상은 ‘
전염
병 예방과 친환경을 모두 잡는 바르는 장갑’ 아이디어를 제시한 ‘rePEEL’팀이 수상했다. 행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