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273건 검색되었습니다.
2024년 재개한 유인 달 탐사에선 첫 발은 '우먼 퍼스트'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기업들이 달 표면에 탐사 장비 16개를 실어나르는 임무로 스타트를 끊는다. 골프 카트
크기
인 로버를 달에 보내 달 표면의 샘플을 채취하고 달 환경을 조사하는 ‘바이퍼(VIPER)’ 임무도 진행한다. 또 25kg의 소형 인공위성 캡스톤(CAPSTONE)을 달 궤도에 보내 달 정거장 ‘게이트웨이’가 돌게 될 궤도를 ... ...
미세먼지 실제 농도와 체감도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이뤄진 대기질 인지도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설문조사를 통한 조사연구다. 표본 집단의
크기
나 특성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실시간으로 조사연구를 진행하기 어려워 일반 대중의 대기질에 대한 인지도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미세먼지라는 키워드는 2012년 이전만 해도 ... ...
캔위성 경연대회서 충북과학고·공군사관학교 최우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Afa’를 선발했다고 이달 22일 밝혔다. 캔위성은 위성의 구성요소를 단순화해 음료수 캔
크기
로 구현한 교육용 위성이다. 기구나 소형 과학로켓을 이용해 상공 수백미터에서 낙하며 위성처럼 계획된 임무를 수행한다. 과기정통부와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초중고 및 대학생들에게 캔위성을 직접 ... ...
[김상희 의원]"국내 가동원전 58%서 구멍 발견…보수비용만 1957억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264개 공극이 발견됐다. 전체 원전에서 발견된 공극의 79%에 해당한다. 가장 큰 공극의
크기
는 157cm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수원에 따르면 한빛 3∙4호기에 들어갈 보수비용은 약 736억원으로 추정된다. 원전 14기 전체에 대한 보수비용은 약 1957억원으로 예상된다. 김 부의장은 “한빛3‧4호기에서 공극이 ... ...
美우주군사령관 "적외선탐지위성으로 이란 미사일 12발 조기 탐지해 피해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쐈을 때도 이를 우주 기반 적외선 탐지시스템 위성이 탐지했다. 스커드 미사일은 ICBM보다
크기
가 작아 탐지가 더 힘들다. 우주 기반 적외선 탐지시스템 위성은 미국 항공우주기업 록히드마틴이 주 개발자다. 초기부터 지금까지 미 국방부에 우주 기반 적외선 탐지시스템 위성을 공급하고 있다. ... ...
정말 바이러스를 뜯어고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들 수 있을까
2020.09.17
2는 약 4% 의 핵산 서열 차이가 있다. 3만 개 염기의 코로나바이러스 게놈의
크기
를 생각하면 약 1000염기 이상이다. 약 13% 정도의 핵산 서열 차이가 있는 ZX45, ZXC21 과 같은 바이러스의 경우 2000 염기 이상의 차이가 있다. 이 변화는 S 유전자 이외에도 바이러스 유전체의 모든 부분에 흩어져 있다 ... ...
감염성 병원균 눈으로 보고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융합했다. 긴 단일 가닥의 표적 DNA 물질이 직경 0.1~10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
크기
로 응축될 수 있도록 효과를 극대화한 기술이다. 10의 마이너스 21승을 뜻하는 ‘젭토’ 수준의 몰 농도 이하 범위에서도 병원균 표적 물질을 검찰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했다. 1젭토 몰 농도는 용액 10cc에 분자 ... ...
소행성 베누, 표면은 살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1월부터 9월까지 베누에서 튀어나온 돌조각을 포착한 개수만 668개에 달한다. 돌조각의
크기
는 지름 0.5~1cm 정도다. 가장 큰 조각은 지름이 5cm 정도였다. 돌조각들은 아이가 기어가는 속도 정도인 초속 20cm로 느리게 베누 주위를 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속 3m 정도로 빠른 돌조각도 있었다. 오시리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정원 관상용으로 적합하다. 반면 MM111 사과나무를 대목으로 쓰면 같은 품종의 접수라도
크기
가 90%까지 자라 과수원용으로 맞다. 대목만 잘 고르면 교배를 통해 게놈을 뒤섞지 않고도 바라는 특성을 지니게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사실 대목(臺木)이라는 한자어는 접붙이기가 목본식물에서만 ... ...
[표지로 읽는 과학] 외래 동식물 침입에 뒤섞이는 전세계 생태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5
수는 원
크기
로 표시했고, 다른 지역과의 유사성은 두 지역 사이의 선으로 묘사했다. 원
크기
와 선 굵기는 종 또는 관계의 수가 많음을 의미한다. 왼쪽은 외래종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고 오른쪽은 포함한 경우다. 외래종이 많아지면 전세계에 비슷한 종 또는 동식물 관계가 널리 퍼지며, 이는 세계의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