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연구단은 지난 5년간 저명한 국제학술지에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
했다. 김규원 단장은 2003년 제 1회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받았고, 2005년에는‘한국의 노벨상’이라고 일컫는 호암상을 수상했다. 뇌혈관분야라는 한 우물을 20년 동안 판 덕분에 거둔 쾌거인 셈이다 ... ...
생각대로 되는 모자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개발해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가 발간하는 학술지인 ‘생물의공학회보’ 5월호에
발표
했다.코 박사팀은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뇌-컴퓨터 접속’(BCI) 기술을 모자에 적용했다.모자 안의 이마와 왼쪽 귀 부근에는 총 6개의 전극이 있다. 이 전극에서 측정된 뇌파는 외부에 설치된 ... ...
'탄소 배출 제로 도시' 생긴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원)를 들여 아부다비 인근에 ‘탄소 배출 제로 도시’를 건설하는 ‘마스다르 구상’을
발표
했다고 ‘테크놀로지리뷰’ 5월 8일자 온라인판이 보도했다.도시는 약 7㎢ 넓이로 주민 약 5만 명이 거주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박막 태양전지를 지붕과 벽의 소재로 사용해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를 ... ...
AI 치료제에 내성 갖는 AI 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표면 당단백질에서 타미플루에 내성을 갖는 변이를 발견했다고 ‘네이처’ 5월 15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베트남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AI 환자로부터 분리해낸 H5N1 바이러스의 N1단백질에 X선을 쪼여 입체구조를 분석했다.AI 바이러스의 외피에는 헤마글루티닌(H)과 뉴라미다제(N) 2종류의 ... ...
지방세포 수, 20세 이후 일정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지방세포 개수는 그대로 유지된다는 사실을 밝혀 ‘네이처’ 5월 5일자 온라인판에
발표
했다.청소년기에 적절한 체중이었던 사람은 체내의 지방세포 개수가 적어 성인이 돼 살이 찌더라도 체중을 조절하기 수월하다. 반면 청소년기에 살이 찌면 지방세포의 개수가 늘어나 그 개수가 성인이 돼서도 ... ...
산불로 생긴 숯, 온실가스의 숨은 주범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숯이 섞여 있는 부식토에서 탄소가 더 많이 줄어들었다고 ‘사이언스’ 5월 2일자에
발표
했다.바들레 박사는 “구멍이 많은 숯 표면이 부식토의 유기화합물을 흡착해 미생물이 자라는 데 유리한 터전이 된 것”이라며 “그 결과 부식토가 빨리 분해돼 탄소가 많이 유출됐다”고 설명했다 ... ...
조류인플루엔자 10문10답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AI가 한국에 토착화돼 풍토병이 되는 것은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정부의
발표
에 따르면 이번에 발발한 AI바이러스가 인체에 토착화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인체토착화는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AI가 연중 발생해 인체 감염 위험이 높고, 생조류와 오리류에 AI바이러스 감염이 만연한 ... ...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무얼 할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놓겠다”고 포부를 밝혔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6월 중순 ‘한국 최초 우주인 실험성과
발표
회’를 열어 이 박사가 우주에서 수행한 실험 결과를 공개하고, 조직을 개편해 달탐사 전담팀을 꾸릴 예정이다. 이 박사와 고 씨는 이 팀에 투신해 연구 활동에 전념할 전망이다.▼관련기사를 계속 ... ...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의 내형(內型)과 하악골(下顎骨) · 이 · 사지골(四肢骨)의 연구를 차례로 정리하여
발표
했다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병하는 구내염 단순포진(單純泡疹) · 대상(帶狀)포진 · 구제역(口歸疫) 등의 아프타성(性) 구내염이 대표적이다이 밖에 마진 · 풍진 · 수두 · 헤르팡기나 등에서도 나타난다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프로테아좀의 작용을 방해한 결과라는 연구결과를 2007년 4월 27일자 ‘몰리큘러 셀’에
발표
했다. 세포는 소포체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가운데 잘못된 것을 제거하기 위해 단백질분해효소 복합체인 프로테아좀을 갖고 있다. 저자들은 “프로테아좀은 잘못 접히거나 손상을 입은 단백질을 찾아내 ... ...
이전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6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