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인근 바다에 생성된 ‘에디(Eddy)’를 촬영한 모습.]▼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리
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Part 5. 동해의 ... ...
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남극 심층 해류의 관계를 과연 누가 풀어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리
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Part 5. 동해의 탄생에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게 국내 학자들의 주장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리
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Part 5. 동해의 ... ...
Intro. 우주의 괴수 거대질량 블랙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그런데 이런 괴물이 대다수 은하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그 이름은 거대질량 블랙홀.
우리
은하의 이웃인 안드로메다은하(배경 사진)의 중심에도 태양질량의 1억 배인 블랙홀이 똬리를 틀고 있다. 지구에서 3억 20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은하(NGC 3842)에는 태양질량의 무려 100억 배인 블랙홀이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훑어 1939년 전파지도를 만들었다. 전파의 세기를 등고선으로 나타낸 그의 지도를 보면
우리
은하의 중심과 백조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강력한 전파가 나옴을 알 수 있다. 훗날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전파원은 초신성의 잔해로 밝혀졌지만 백조자리의 전파원(백조자리 A)은 은하이고 그 중심에는 ... ...
‘SNS 내 얘기’는 돈만큼 짜릿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텍사스대 심리학자 제임스 페너베이커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맞는 것 같다”며 “
우리
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얘기를 들어주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그렇지 않으면 트윗을 할 이유가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점점 자주 출현하고 있다. 근본 대책은 무분별한 도시개발의 중단뿐이다. 지하수는 결코
우리
가 맘대로 빼내 쓸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싱크홀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도시 주요 지역에서 지하수의 흐름을 늘 모니터링 해야 한다. 특히 도심지 공사장의 부분별한 공사는 싱크홀의 가능성을 높이고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등 각국의 영토분쟁도 잦다. 강대국들의 탄도탄 확보를 위한 노력도 커지는 분위기다.
우리
가 할 수 있는 일은 첨단 군사과학기술 개발을 통한 확실한 대비가 아닐까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잘라내는 대신 신경섬유 다발을 끊어주는 수술 기법이 발전하고 있다. 먼 미래에는
우리
뇌의 잘못된 연결이나 끊어진 연결을 재생시킬 수 있는 유전자 치료나 줄기세포 치료 방법이 개발돼서 뇌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
전기정보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같은 소규모에서 국가 전력에 이르는 대규모 기술까지 전기정보공학은 고루 쓰인다.
우리
는 알게 모르게 항상 전기정보공학의 혜택을 받고 있다.3 어디에 있어요?전기정보공학부는 국내외 공과대학 대부분에 있다. 외국 대학으로는 특히 미국에 있는 매사추세츠 공대(MIT), 스탠포드대, 버클리대, ... ...
이전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6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