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실이야? 진짜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날기, 물건을 이용해 갈매기 쫓아내기 등 독특한 생활습관을
발견
해 냈지요. 교수님이
발견
한 또 하나의 특이한 습성은 바로 속임수를 쓴다는 것이었어요. 도래까마귀들은 한 곳에 먹이를 숨기는 척하다가 실제로는 다른 곳에 먹이를 숨기는 기발한 속임수를 쓴답니다.▶속여야 살아남는다 ... ...
열대지역이 넓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쪽을 저온으로 하면 그 회로에 전류가 생기는 현상 1821년 독일의 TJ제벡(1770∼1831)에 의해
발견
되었다 두 접점 사이에 나타나는 기전력은 금속의 종류와 접점의 온도차에 따라 정해지는데 가령 구리와 콘스탄탄의 조합으로 온도차를 1백℃로 하면, 43mV의 기전력이 생기며 이 때 전류는 고온부의 접점에 ... ...
세계 최초의 암 백신 나왔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6개월간 3차례 가다실을 접종하고 2년간 지켜본 결과 단 한 명도 자궁경부암 세포가
발견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콘딜로마의 경우도 99%의 예방 효과를 보였다.성경험 없는 소녀 때 접종해야가다실의 주성분은 바이러스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capsid)을 구성하는 L1 단백질이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대신 ... ...
발해의 닻을 올려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이 토기를 발해시대 것이라고 판명했다는 것이다.그래서 라트니코프 씨는 발해 토기가
발견
된 그 해안가에 발해 닻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고, 그렇다면 토기와 마찬가지로 닻도 발해 시대의 것이 아니겠냐고 설명했다.결국 필자와 취재팀을 도운 연해주 전문가 순동기 씨는 라트니코프 씨의 설명에 ... ...
공포가 즐거운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연구진은 롤러코스터를 여러 번 탑승한 사람들의 뇌 피막 아래에 피가 고이는 증상을
발견
했다고 발표했다. 몸이 롤러코스터의 움직임에 따라 과격하게 흔들리면서 뇌가 두개골에 부딪혀 실핏줄이 터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남정환 교수는 “중력가속도가 크다 해도 그 순간이 고작 0.2초 정도로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있어서 보현산천문대의 천체망원경은 작은 편에 속하지만 지난 2월에도 새로운 변광성을
발견
해 미국 천체물리학 저널에 게재하는 등 그 역할은 톡톡히 해내고 있다.지금 사용하고 있는 천체망원경이 우리나라 지폐에 등장한 것은 처음이라 고민도 많이 따랐다. 1만원권을 도안한 디자이너가 어느 ... ...
붉은 카펫 위로 걸으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든 조선족 여인을 검사대로 안내한다.가방 안에서는 비닐봉지로 포장한 쇠고기 장조림이
발견
됐다. 물론 들여올 수 없다. 안타깝지만 역시 압수 처리된다. 김명수 과장은 “탐지견들은 스팸처럼 캔 안에 밀봉된 고기 냄새까지 맡고 잡아낸다”고 설명한다.현재 26마리의 탐지견이 검역장을 누비고 ... ...
계단과 무빙워크 중 전자 궤도를 닮은 것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그 특정 파장은 당연히 ${R}_{H}·(1/{2}^{2} - 1/{∞}^{2}$)의 역수인 $4/{R}_{H}$ 일 것이다.발머가
발견
한 가시광선 영역의 선스펙트럼뿐만 아니라 전자의 마지막 에너지가 어디냐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불연속적인 선스펙트럼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전자가 n이 1인 상태로 내려올 경우에는 n이 2인 상태로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키가 작은 나무도 있다. 바로 시베리아, 캄차카 반도, 우리나라 제주도 등에서만 드물게
발견
되는 ‘돌매화나무’. 돌매화나무는 세상에서 가장 키가 작은 나무다. 보통 1〜2cm 밖에 자라지 않는다. 하지만 부름켜가 있어 계속 자라며 몇 해를 사는 ‘당당한’나무다. 가장 무거운 나무미국 ... ...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수용액이 전기분해될 때, 용액속의 전기장 안에서 전극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있음을
발견
하고, 그리스어의 '간다'는 뜻의 ion을 따서 이것을 이온이라고 명명하였다 뒤에 스웨덴의 아레니우스(SAArrhenius)는 이들 물질이 수용액 속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나뉨을 보여 주었다 즉 음극으로 향하는 ... ...
이전
648
649
650
651
652
653
654
655
6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