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력
템포
스피드
박자
리듬
빠르기
진전속도
뉴스
"
속도
"(으)로 총 6,829건 검색되었습니다.
中, 美·러시아 이어 세번째 달 착륙 성공 국가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안테나를 열고 활동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위투는 바퀴 6개를 이용해 시속 200m
속도
로, 3㎢의 지역을 탐사할 예정이다. 위투는 장착된 달탐사 레이더를 이용해 달 지면 내부를 인류 달 탐사 역사상 최초로 탐사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기혁 미래융합연구실장은 “레이더의 ... ...
의료기기와 첨단 기계로 만드는 공룡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훼손하지 않으면서 모조화석을 만든 것이다. 이세버 박사는 “정밀하면서도 빠른
속도
와 싼 가격으로 모조 화석을 만들 수 있는 것이 최대 장점”이라며 “진짜 화석을 전시하기 어려운 박물관이나 학교에서 많이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게임은 정말 '악의 근원'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웹사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이 게임은 게임자의 신체와 뇌의 인지능력 및 반응
속도
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전 세계에서 5000만 명 이상이 루모시티를 즐기는데, 이들은 10억회 이상 게임 기록을 만들었고, 이는 4000만 개의 각종 뇌과학 및 심리학 연구 데이터로 쓰인다. 게임이 뇌 ... ...
미래부, 창조경제 추진
속도
높이나?
동아사이언스
l
2013.12.11
장관 최문기)는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 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창조경제의
속도
를 높이고 중·장기적인 창조경제 추진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12일자로 조직개편을 단행한다. 우선 창조경제 추진 체계의 원활한 운영과 부처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제1차관 소속으로 ‘창조경제조정관’이 ... ...
귤 괴롭히는 나쁜 바이러스들 '꼼짝마'
동아사이언스
l
2013.12.10
그동안은 개별 바이러스를 일일이 진단해야 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대응
속도
도 느렸다. 이번에 개발된 복합 진단키트는 감귤 잎에서 추출한 RNA와 상보적DNA(cDNA)를 합성한 뒤 이를 진단키트에 올려 검출하고자 하는 부분만 대량으로 증폭시키는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살필 수 ... ...
송년회로 피곤한 연말, 안전운전 걱정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10
함께 심장 질환과 혈당수치 이상 여부 등을 체크해 위기 상황에 자동차가 스스로
속도
를 줄이거나 멈추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대림대 자동차학과 김필수 교수는 “운전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운전자의 컨디션”이라며 “능동적으로 운전자 상태를 파악해 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 ...
[꿈틀꿈틀 신나는 진로]“비행기 한 기종 매뉴얼만 78개… 끊임없이 공부해야죠”
동아일보
l
2013.12.09
항공기는 각 파트들을 너트와 볼트로 연결시키도록 설계가 돼있었죠. 하지만 항공기의
속도
가 더 빨라짐에 따라 연결 부분에 응력(외부의 힘이 작용할 때 내부에 생기는 저항력)이 생겨 기존 설계방식에 변화가 필요했습니다. 파트별 연결 방식이 본딩(초강력 접착 소재를 활용해 붙임)으로 ... ...
달 탄생 기원 ‘금성’에 물어봐
동아사이언스
l
2013.12.08
발표한 미국 사우스웨스트연구소 로빈 캐넙 박사는 “지금 상황에선 지구의 자전
속도
가 24시간으로 안정화된 과정과 충돌 후 물질의 혼합 과정을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칼슘’과 ‘금성’이 비밀을 밝힐 핵심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칼슘은 높은 온도에서도 ... ...
뒤집어 끼워도 작동하는 USB 나온다
동아일보
l
2013.12.06
최신 스마트폰에 많이 쓰이는 마이크로B형 단자와 비슷한 작은 크기이면서도 데이터 전송
속도
는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IT매체 아스테크니카는 “C형 단자가 기존 USB 단자들과 호환은 안 되지만 앞으로 나올 USB들의 통합 표준 단자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최지연 기자 lima ... ...
짧은 스침과 긴 여운, 아이손의 근일점 통과기
동아사이언스
l
2013.12.05
마치 V자처럼 쐐기 모양을 이루게 됐다. 실제로는 태양풍을 이루는 물질의 종류와
속도
가 태양 표면까지의 거리에 따라 변하므로 조금 더 복잡하지만, 이 정도로도 간단히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실제에 좀 더 가까운 상황에서 혜성의 꼬리가 근일점 통과 전과 후에 어떻게 변하는지 계산한 ... ...
이전
648
649
650
651
652
653
654
655
6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