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엑소마스 2020, 성공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스키아파렐리의 착륙 실패는 매우 안타까워요.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번 실패의 원인을 제대로 분석하면 앞으로 진행될 ‘엑소마스 2020’의 탐사 성 ... 보시려면?Intro. 스키아파렐리 실종사건Part 1. 착륙 1분 전 사라지다!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Part 3. 엑소마스 2020, 성공할 수 있을까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제천체투영관영화제에서 황홀한 오로라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길고 넓게 너울너울 거리는 오로라를 ‘센 오로라’라고 하는데, 센 오로라 장면이 나올 때 여기저기에서 감탄하는 소리가 들렸어요.영화가 끝난 후 권오철 감독님께 오로라 촬영 방법과 에피소드 등을 물어보았어요.*플라스마 : 기체의 온도가 2000℃ 정도로 올라가면 기체 분자가 쪼개져 원자 ... ...
- [특별 인터뷰] 조재호·김문식 작가의 웹툰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다르답니다. 게다가 수업에 참가한 학생들은 정식으로 그림을 배우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초를 중점적으로 가르쳐 주고 있어요.”매주 토요일 오후에 진행되는 수업이지만 지금까지 빠지는 학생은 거의 없었다고 해요. 학생들과 작가님은 만화를 계기로 그림을 좋아하게 됐다는 점에서 큰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나뭇잎이 없어서 새가 잘 보이고, 먹이를 찾아 사람들 가까이로 내려오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지요.가장 자주 볼 수 있는 건 직박구리예요. 직박구리는 우리나라 어디서나 흔하게 볼수 있는 텃새로, 광릉숲에도 많은 수가 서식하고 있어요. 차가운 바람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나뭇가지에 앉아 갈색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방귀악당 ‘ 아카키고 토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시계소리를 따라가 보니, 이게 웬일! 의자 밑에 폭탄이 놓여 있는 게 아닌가! 바로 그때 ‘아카키코 토키고’가 다시 나타나 말했다.“우헤헤! 바로 일어나면 방귀폭탄이 그대로 터져서 기절하고 말걸? 뿡!” 썰렁홈즈가 폭탄을 멈추고 의자에서 일어나자, 경찰이 나타나 방귀로 사회 혼란을 일으킨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은 ‘쇠 금(金)’ 뒤에 ‘담다’라는 뜻의 ‘얼굴 용(容)’이 붙은 글자예요. 쇠를 녹일 때 사용하는 ‘거푸집’을 뜻하지요. 또한 ‘쇠 금(金)’ 대신 ‘물 수(氵)’를 쓰면 ‘용해하다’라는 뜻의 ‘녹을 용(溶)’이 된답니다.‘녹일 융(融)’에는 솥을 뜻하는 ‘솥 력(鬲)’과 ‘벌레 훼(虫)’가 ... ...
- [과학뉴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깡충거미 귀는 소머즈 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감각모로 소리를 듣는 거예요.연구팀은 소리가 나는 곳과의 거리가 2m, 3m, 3.3m로 달라질 때 깡충거미가 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봤어요. 그 결과 80Hz의 소리를 65dB의 크기로 들려 줬을 때, 최대 3m 거리까지 들을 수 있었어요. 또한 깡충거미는 80Hz의 소리를 0Hz나 2000Hz 소리보다 각각 6배,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칠엽수’라는 나무의 열매로, ‘말밤’이라고도 불러요. 예전에 말이 숨을 헐떡일 때 치료약으로 먹였으며, 밤과 닮아서 ‘말밤’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해요. 칠엽수는 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5~7갈래로 갈라져서 난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어요. 20~30m 높이로 자라며, 잎이 커다랗고 무성하게 나서 ... ...
- [현장취재] 놀면서 배우는 행복한 로봇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결실을 이루는 순간이었어요. 참가한 300여 명의 친구들과 함께 마지막 단체사진을 찍을 때는 한마음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답니다.“우리가 미래 IT세상의 하인슈타인! 내년에 또 만나요 ... ...
- 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지구에 살아갈 생물을 찾는 것처럼 갖가지 생김새의 생물이 등장했다가 사라져갔기 때문이지요. 그 결과 지구의 환경에 가장 적응을 잘 하고 오랫동안 후손을 남길 수 있는 생물 집합만 살아남게 되었답니다.그렇다면 왜 이렇게 갑자기 진화가 일어났을까요? 고생대가 시작되기 직전에 일어난 환경 ... ...
이전649650651652653654655656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