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얼른 보아 생각하기로는 작은 눈동자에 흐린 눈썹은 서쪽 황해의 건너편으로부터, 세로로 높고 가로로 좁은 이마와 큰 턱은 북방으로부터, 합죽이형의 꺼진 코허리, 넓은 코 유전자는 남쪽의 해로를 통해 이 땅에 들어온 것 같다 ...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과학동아 l1994년 02호
- 고슴도치 유전자를 발견했을 때 위의 방식을 따르지 않았다. 그는 새로 발견한 유전자를 세가(Sega)사(社)의 컴퓨터 게임에 나오는 등장 인물에서 따온 이름인 소닉 고슴도치(Sonic hedgehog)라고 지었다.다른 많은 과학자들은 새로운 이름에 반대하고 있다. 이런 이름을 짓는 것은 고상한 분자를 하찮게 ... ...
-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밀도비는 주경이 작은 망원경과 같게 되어 두망원경은 같은 밝기이다.지금까지 f수를 자세히 설명한 이유는 망원경 선택에 있어서 f수가 망원경의 크기 못지 않게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망원경 하나를 갖고 아마추어 천문의 모든 일을 할 수는 없다. 자기가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할 ... ...
- PART.2 쓸만한 타이틀을 찾아라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정도로 갖가지 종류의 타이틀이 개발되어 있거나 개발중인데 책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세상만사가 분류되듯 CD-ROM 타이틀의 분류도 책의 분류만큼이나 복잡해질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기존의 책이 갖는 성격에다 영화나 비디오가 갖는 영상이 결합되고 여기에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적 측면이 ...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방법을 가지고 이 수수께끼에 도전하고 있다. 바다가 대부분을 흡수했다는 이론을 내세우는 사람들과 육지가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람들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누구의 주장이 옳은지는 앞으로 이 수수께끼에 새로이 도전하는 젊은 과학자들에 의해 분명히 밝혀질 것이다.하지만 중요한 ... ...
-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빛의 속도는 누구에게나 같다. 따라서 어떠한 운동을 하는 사람에게나 물리적으로 우세한 위치가 있을 수 없다.지구는 상하 좌우 전후가 대칭이므로 어디에서나 물리적으로 같은 것이다 ... ...
- 수치로 비교분석한 한국·일본 여대생의 평균 얼굴과학동아 l1994년 01호
- 보고 있으나, 하안이 큰 얼굴에 대해서는 별로 호감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이런 세 타입 간의 형태구성에 나타나는 수량적 차이는 얼굴의 다른 부위에서도 찾기 어렵지 않다. 이마에 해당하는 상안부를 보더라도 이마의 가로폭의 넓이(全額幅)에서 미인형이라고 응답한 형에서는 호감이 ... ...
-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과학동아 l1994년 01호
- 기니피그(실험쥐)에서 유모세포가 재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연구진들은 사람의 유모세포를 재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으로 흥분하고 있다. 앞으로 어떤 연구결과가 나올지 그 귀추가 여간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 ...
- PART.2 멀티미디어 첨단 기술에 관심집중과학동아 l1994년 01호
- DSP에 로드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새로운 사운드 카드를 구입하는 것보다 훨씬 값싸고 세련된 방법이다.다만 현재의 DSP들은 속도가 느리며,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수에 제한이 있고,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비싼 SRAM을 사용하며, 호환성이 부족하다는 등의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 ...
- 생물 - 수정란 1개의 무한한 잠재력과학동아 l1994년 01호
- 하나의 수정란에서 수십조의 세포를 가진 생명체가 탄생하기까지, 생명체 발생의 신비는 지속적으로 작용한다.난자는 수정되면 발생을 시작하여 ... 분포에 차이가 생기고, 이로 인해 유전자의 활성 부위가 달라지므로 분화는 유전자와 세포질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 ...
이전649650651652653654655656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