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d라이브러리
"
시간
"(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극미시세계에서는 다른 이론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여전이 존재한다.우리는
시간
과 공간을 연속적이라고 느끼지만 아주 작은 시공간에서는 불연속적인 격자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격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 일상에서 모든 것을 연속이라고 인식하면 실제와 달리 상대성이론이 성립하는 것처럼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연구 연보’를 만드는 편집진과 여러 과학자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지난 9월 29일(현지
시간
) 미국 하버드대 샌더스 극장에서는 올해의 이그노벨상 시상식이 열렸다. 오귀스트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이 벌렁 누워 있는 포스터대로, 올해의 수상작들도 엽기적이면서 진지하다. 이그노벨상을 받는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바람’을 일으킨 것으로도 유명하다. 바로 사진기를 들고 연천으로 달려갔다. “수업
시간
에 종종 듣는 질문인데….”고고학 연구에 유전학을 도입하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낸 계기를 묻는 질문에 칸 교수는 이렇게 대답을 시작했다. 의외로 대답은 간단명료했다.“전공 외에 다른 분야에도 ... ...
건전지 없이 라디오를 듣는다고? 광석라디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십자형 조립대에 기판을 붙이고 사방을 구리선으로 두르면 쉽게 만들 수 있다.저녁
시간
대가 낮보다 더 잘 들린다. 소리가 작더라도 증폭 장치가 없어 감도가 약하다는 점을 감안하자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나방의 생태를 연구하려면 야간이 더 효율적이다.많은 애벌레들이 밥 먹으러 나오는
시간
인 이른 저녁부터 늦은 밤까지 랜턴을 이용하거나 헤드램프를 쓰고 찾는다. 밤에는 식물의 갈라진 틈, 나무줄기의 가지에 숨어 있는 애벌레를 발견하기가 쉽다. 경계심을 풀고 가지나 잎맥 위에서 열심히 잎을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길러주고 싶습니다. 밤낮가리지 않고 열정을 다해 연구해야 하는 반도체 엔지니어에게
시간
관리는 꼭 필요한 덕목이거든요.” 구리나노와이어로 더 작고 더 빠르게김 교수는 좋은 강의를 했던 교수를 학생들이 직접 뽑는 ‘최우수강의 우수상’을 4년 연속 받았을 만큼 열혈 교수다. 그의 강의가 ... ...
물리 - 특수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특수상대성 이론이 발표된 지 100년이 지났지만,
시간
지연과 공간 수축 개념은 여전히 신기하다. 이 이론은 우리의 상식과 통념에 도전하며 이론이 보여주는 바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우리에게 요구한다. 이번 호에서는 특수상대성 이론을 살펴보자. ...
내가 제안한 실험을 진짜 우주에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산·염기 적정 등 토의, 실습 중심의 생명과학 관련 활동을 할 수 있다. 소정의 교육
시간
을 이수하면 수료증도 발급된다. 생명과학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참여해보자.별과 함께 1박 2일! 스타캠프천문 우주과학에 관심 있는 학생이라면 주목하자.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초등학교 4학년~중학교 3학년 ... ...
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탄생한 순간을 지켜본다. 2파트에서는 ‘타임머신 터미널’에 들러 과거와 미래로 가는
시간
여행의 방법을 알아본다. 3파트에서는 빛보다 빠른 입자의 출현 소식을 듣고 이탈리아 그란사소 국립연구소 현장을 찾았다.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다. 4파트에서는 SF작가가 꽁트로 각색한 타임머신의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웜홀이나 여분의 차원을 통과했던 것인지도 모른다.그러나 더 흥미로운 점은 우리가
시간
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멋진 실마리가 하나 더 생길 수도 있으리라는 희망일 것이다. 1895년에 출판된 웰즈의 소설 ‘타임머신’이 10년 뒤에 아인슈타인의 이론으로 재탄생한 것처럼, 우리에게 필요한 ... ...
이전
649
650
651
652
653
654
655
656
6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