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도
도면
d라이브러리
"
지구도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2. 20대 박사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북한에도 남한의 과학고에 해당하는 최고의 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기관이 있다. 제1고등중학교가 바로 그것이다. 여기서는 과학영재를 어떻게 발굴해서 교육시키는 것일까.매년 북한에서는 이맘때가 되면 남한의 서울대에 해당하는 김일성종합대학에서 '과학경연대회'가 열린다. 마치 남한에서의 ... ...
문단의 귀재 이윤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신화 전문가’‘국내 최고의 번역가’로 알려진 문단의 귀재 이윤기. 이제 그가 과학에 눈을 돌려 자신의 독특한 생각을 풀어낼 채비를 갖추고 있다. 신화에 얽힌 흥미로운 얘기를 이해하면 현대 첨단과학의 흐름과 용어의 참뜻을 쉽게 알 수 있다는게 그의 지론이다. 내달부터 과학동아에‘과학 ... ...
1. 차세대 컴퓨터 주역 쟁탈전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현재의 컴퓨터와는 상당히 달라진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포스트PC가 곧 등장할 예정이다. 휴대폰이 개인 모두에게 언제든지 연락할 수 있는 통신시대를 연 것처럼, 포스트PC는 어떤 형태로든 사용자에게 항상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줄 전망이다.지난 1970년대부터 약 30년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이상에서 충돌흔적이 발견되고 있다. 만약 지구에 대기와 물, 화산활동 등이 없었다면,
지구도
달과 수성처럼 운석공 천지였을 것이다.특히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는 지름 1백80-3백km 정도의 충돌흔적이 있는데, 흔적의 규모로 보아 이 운석공은 지름이 약 10km인 엄청난 소행성이 충돌해서 생긴 것으로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사람들은 징그럽다고 하면서도 뱀에 대해 다양한 호기심과 관심을 갖는다. 과연 뱀은 에덴동산에서 이브를 유혹했듯 사악한 동물일까. 아니면 우리나라 설화에 등장한 것처럼 나라를 걱정하는 영물일까. 뱀의 해를 맞아 뱀을 새롭게 이해해 보자.2001년은 뱀의 해이다. 그리고 올해 태어나는 아이들 ... ...
소행성 발견 2백주년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지금으로부터 꼭 2백년 전인 1801년 1월1일에 새로운 천체가 발견됐다. 다름아닌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이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수많은 소행성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이 가운데는 지구에 엄청난 재앙을 미칠 만한 것들도 있다. 하지만 이 우주의 핵폭탄이 잘 이용되면 소행성의 자원가치는 상상을 초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이탈리아 시칠리아섬의 팔레르모천문대에서 있었던 일이다. 망원경을 들여다보고 있던 천문대의 대장인 주세페 피아치(1746-1826)의 속눈썹이 겨울밤 찬 공기 속에서 파르르 떨렸다. 피아치가 이끄는 천문대에서는 수많은 별들의 위치를 이전보다 정확하게 관측하던 중이었는데, 우연히도 배경별들 ... ...
운석에서 박테리아 합성물질 나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화성에 원시 형태의 생명체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새로운 증거가 국제지질화학·운석화학회지 12월호에 제시됐다.미 항공우주국(NASA) 연구팀은 남극에서 발견된 화성 운석(ALH84001)을 조사한 결과 이 운석에 지구의 해양성 박테리아가 만드는 것과 동일한 자철광 결정이 존재함을 발견했다.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2001년 1월의 밤하늘은 맨눈으로도 볼 만한 천문현상이 세번이나 펼쳐진다. 가장 주목할 만한 현상은 역시 새해를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그리고 새해 벽두에 만나는 북두칠성 근처의 별똥별쇼와 1월 한달 동안 저녁하늘에서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금성이 그들이다.새해가 밝아오는 1월 밤하늘에는 ... ...
① 애기장대 프로젝트 완료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식물은 인류의 식량원인 동시에 청정한 환경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인간게놈프로젝트에 비해 널리 알려져 있지는 못했지만, 1990년대 초반에 시작한 애기장대 게놈프로젝트가 올해 말이면 그 결과를 드러낸다.세계 곳곳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식물게놈프로젝트를 만나보자. 1999년은 ... ...
이전
649
650
651
652
653
654
655
656
6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