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8,184건 검색되었습니다.
3. '지구의 허파' 열대우림 파괴는 어떤 핵전쟁보다 끔찍한 일
과학동아
l
199404
수 있을 것이다.CFCs의 대량 유입으로 화성의 대기 온도가 적어도 지구의 척박한 환경에서
발견
되는 박테리아성 토양미생물들이 생존할 수 있는 수준까지 상승 될 수 있다면, 그 다음 단계는 적당한 미생물군의 이식이다.이때는 유전공학적 기술을 동원해서 미생물의 색깔을 짙게 만드는 것이 ... ...
카파도키아 암반동굴
과학동아
l
199404
생긴 큰 돌들이 대부분이다. 마치 뾰족한 갓버섯 모습이다. 데린쿠유 지하동굴은 1963년
발견
돼 세계인을 놀라게 한 대규모 옛 지하도시다. 깊은 땅굴 속을 종횡으로 수십 ㎞씩 굴을 판 후 그 안에 학교 강당 식당 교회 주거지 등을 만들었다. 심지어 로마에 있는 카타콤과 비슷한 납골당까지 있다.마치 ... ...
2 유전자 이용, 수명연장·암 치료 현실화 눈 앞에
과학동아
l
199404
유기용매이냐에 따라서 가수분해반응이냐 또는 중합반응이냐가 결정된다고 하는
발견
은 매우 획기적인 것. 이를 이용하면 우리가 원하는 펩타이드구조를 갖는 단백질을 마음대로, 그리고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실제로 오늘날 많은 치료제는 단백질 구조를 갖고 있으며 효소를 이용하여 ... ...
뮤입자를 이용해 인체 내 미량원소를 측정
과학동아
l
199404
궤도에 올랐다고 보도했다. 뮤입자는 우주공간으로부터 지구에 쏟아지는 우주선 가운데
발견
한 소립자의 일종. 이를 인공적으로 만들려면 아주 강력한 양성자가속기가 필요하다. 뮤입자는 사람 몸에 들어가서 정지할 때 X선을 방출한다. 이 X선 에너지의 강도를 검출하면 목적하는 곳의 원소의 양과 ... ...
한반도에서 시조새 화석
발견
됐다
과학동아
l
199404
바 있다.북한에서 조선 시조새가
발견
됐으니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남한에서도
발견
의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보도가 사실이라면 말이다 ... ...
물리- 물질의 근본 입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04
쿼크라고 이름지었다(아름다운 쿼크는 예명이고 실제 이름은 바닥(bottom) 쿼크다). 아직
발견
되지는 않았지만 물리학자들은 더 큰 질량을 갖는 진리(truth) 쿼크가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 그 믿음의 확고함은 미리 이름을 지은 것으로 짐작할수 있다(진리쿼크는 꼭대기 (top) 쿼크라고 불린다).이 ... ...
X 염색체 가진 정자는 Y 염색체 가진 정자보다 크다
과학동아
l
199404
크기에 주목, 여성의 유전자를 가진 정자가 남성 유전자를 가진 정자보다 더 크다는 점을
발견
했다. 과학지 '네이처'에 이들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여성 유전자 정보가 든 X염색체를 가진 정자는 남성 유전자 정보가 든 Y염색체를 가진 정자보다 크고 길다는 것. 이 크기 차이를 이용하면 아들 딸을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04
북극성 고도가 1˚만큼 더 커지도록 해 이때의 거리를 측정해 보니 조금씩 커지는 것을
발견
했다. 위도 45˚ 부근에서는 1백11.14㎞이고, 마지막으로 극지방에 도달할 때의 거리는 1백11.70 ㎞가 됐다. 지구가 완전한 구형이라면 위도 1˚, 즉 중심 각 1˚에 해당하는 지표상 거리는 지구상의 어디에서나 같을 ... ...
서해안철새도래지 보호관리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403
과거 수십만마리의 철새들이 몰려들던 서해안 일대는 최근 간척과 개발사업으로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고 있다. 이같은 환경변화에 철새들은 어떻게 대처할 ... 이날 탐사팀의 눈에 띈 새의 종류는 10여종, 개체수도 1천21마리에 불과해 많은 종과 개체수가
발견
된 내수면쪽과 비교가 됐다 ... ...
남북학자들이 공동연구할 그날은 언제쯤…
과학동아
l
199403
새발자국 화석이
발견
되었으나 그 골격화석은 아직
발견
되지 않았다. 시조새 화석
발견
은 포유동물 진화를 밝히는 문제 등 지질학적으로 볼 때 엄청난 사건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북한의 폐쇄성으로 인해 전세계에 알려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위 사진은 필자가 정년퇴직하기 전 미국의 지질학자들과 ... ...
이전
650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