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식물과 척추동물의 3분의 1이 살고 있다. 미국 스미스소니언 연구소의 학자들이 분석한
결과
파나마의 바로 콜로라다 섬 한 곳에만 약 2만 종의 곤충이 산다. 유럽 전역에 서식하는 곤충과 맞먹는 숫자다. 21세기 다윈, 공기통 메고 바다로 뛰어들다 "신종 찾을 때 뭐가 가장 힘드신가요?" 식상한 ... ...
[과학뉴스] ‘먹방’보다 액션영화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아일랜드’, TV 토크쇼 ‘찰리 로즈 쇼’ 그리고 소리를 제거한 ‘아일랜드’였다.연구
결과
액션영화를 감상한 집단이 토크쇼를 본 집단보다 2배 정도 더 많은 양을 먹었고, 섭취한 칼로리도 1.7배 더 높았다. 소리가 없는 ‘아일랜드’를 본 경우에도 토크쇼를 볼 때보다 36% 더 많이 먹고, 얻은 ... ...
[과학뉴스] 물에 햇빛 쪼이니 수소가 펑펑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글로벌프런티어사업단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 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
는 화학 분야 권위지 ‘앙게반테 케미’ 8월 2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오후 잠 쫓는 ‘카페인’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재배되는 커피 종인 카네포라 종 커피의 게놈을 해독해 그
결과
를 ‘사이언스’ 9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커피에만 존재하는 23개의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했다. 그 중에는 카페인을 만들거나 막는 유전자(n-메틸트랜스퍼라아제 등)도 포함돼 있었다. 흥미롭게도 커피의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판단 근거를 찾아내는 ‘사례 기반 접근법’, 여러 사람의 행동이 맞부딪힐 때 어떤
결과
를 낳는지 시뮬레이션해서 최적의 행동을 찾아내는 ‘다중 행위자 접근법’ 등이다.미국 렌슬레어공대 셀머 브링스요드 박사는 인류의 윤리적 체계를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NOAA)에서 개발한 3차원 대기순환 모형을 도입해 시뮬레이션 실험을 했고 같은
결과
를 얻었다. 또 이 실험을 통해 북극 상공의 기압이 증가하면서 극 소용돌이가 약해진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그렇다면 북극 해빙이 줄어 들면 왜 극 소용돌이가 약해지는 것일까. 해빙이 녹으면 대기와 해양 사이 온도 ... ...
[과학뉴스] 목성 위성 유로파도 ‘판구조론’ 따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목성의 4대 위성이자 물이 지구보다 많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유로파가, 지구를 제외하고는 처음으로 판구조론을 따르는 천체로 밝혀졌다 ... 지구와 비슷한 판구조론을 따르는 태양계 유일한 천체라고 결론 지었다. 이 연구
결과
는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9월 7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5분만 기다려 택시 합승하세요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출발 시각과 도착 시간이 기록돼 있었는데, 이를 빅데이터 분석법으로 처리했다.분석
결과
전체 승객의 95%가 최대 5분만 기다리면 다른 승객과 택시를 함께 탈 수 있었다. 같은 목적지를 두 번 가는 수고를 덜자 운행 시간은 40%가 줄어 택시 회사 운영비도 30%가량 줄었다.지금까지는 같은 곳에서 ... ...
[과학뉴스] 식물인간도 영화 볼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오언 교수는 2006년에 이미 “23세의 식물인간 여성이 의식적인 뇌활성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
를 발표해 유명해졌다. 당시 연구팀은 식물인간에게 “테니스를 치고 있다고 상상해 보라”고 주문한 뒤 뇌의 활성패턴을 관찰했는데, 뇌의 ‘운동영역’이 건강한 사람과 마찬가지로 활성화됐던 것이다. ... ...
[과학뉴스] 바다는 7대양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변수를 수학적으로 분석한 뒤 이를 토대로 바다쓰레기의 위치와 움직임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거센 조류에 의해 바닷물이 거의 섞이지 않는 지역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연구팀은 이 지역을 일종의 바다의 ‘경계’로 해석했다. 예를 들어 태평양과 대서양은 적도 부근에서 완전히 구분되는 ... ...
이전
650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