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지 않는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못하는 실리콘은 산소와 단일 결합을 이루고,그러다 보니 산화실리콘은 이산화탄소 같이
작은
기체 분자가 아닌 여러 분자가 결합된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그리고 보니 모든 생체 분자가 탄소를 사용하는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다.물론 탄소가 4개의 결합을 이루어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 수 ... ...
티코 브라헤와 초신성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1576년 티코는 왕의 도움으로 스웨덴 남부의 스코네와 셸란 섬 사이에 있는 흐벤이라는
작은
섬을 얻었다. 여기에 하늘의 성을 뜻하는 우라니보르그와 별들의 성을 뜻하는 스테르네보르그 두 천문대를 세웠다. 천문대에는 거대한 사분의와 회전 혼천의 등의 관측기구들을 갖추었다. 그는 이를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핵심부품은 주거울과 CCD카메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CCD는 온도에 극히 민감하다. CCD는
작은
온도 차이에도 반응해서 전자를 발생시키고 이것이 화면 전체를 밝게 만들어버린다. 때문에 액체질소를 불어넣어 항상 영하 1백10℃로 유지한다. 하지만 박 연구원은 CCD 외에 컴퓨터 프로그램밍의 대가다. ... ...
1. 인간 유전자는 몇개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작문 우선 유전자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게놈을 살펴보자. 인간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체는 세포다. 각 세포의 핵에는 46개의 염색체가 존재하며 유전정보는 바로 이 염색체에 담겨 있다. 염색체는 DNA 이중나선이 히스톤과 같은 단백질에 감겨 있는 상태로 고무줄이 꼬여 있는 것처럼 ... ...
아마존 정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놓는 것이 좋다. 그리고 나무에 불을 붙이기 전에 마른 나뭇잎에 먼저 불을 붙인 다음
작은
나뭇가지에 불을 옮겨붙게 한 후 큰 나뭇가지에 불을 붙여야 한다. 이때 나뭇가지에 칼자리를 많이 내면 더 잘 탄다. 라이터가 없거나 라이터를 가지고 쉽게 불을 붙일 수 없다면 태양빛을 이용해 물렌즈를 ... ...
2. 기능 없는 97% DNA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이 역시 생물의 진화단계에 따라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즉 현존하는 원핵생물 중 가장
작은
게놈 크기를 보유한 미코프라스마의 게놈으로부터 4백70개의 유전자, 대장균과 고초균의 경우 4천2백88개 및 4천1백개의 유전자가 밝혀졌다. 물론 진핵생물은 더 많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효모, 초파리, ... ...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Silent Spring)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및 물 속의 어류에 미치는 피해 등에 대해서 과학적 증거를 제시하며 설명한다.호수 속의
작은
벌레를 죽이기 위해 사용한 화학물질은 먹이사슬의 모든 생물체 내에 차곡차곡 축적되고, 해충을 박멸하기 위해 사용한 살충제 때문에 해충들의 내성은 더욱 더 강력해진다. "과학이 가장 끔찍한 현대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40km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다. 아마도 파리나 모기의 경우 빠른 날갯짓은 상대적으로
작은
날개 면적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실험실에서 등에모기의 날개를 떼고 날개 근육의 진동주파수를 측정했더니 날개가 있을 때보다 더 늘어나 2천2백Hz에 달했다.이렇게 빠른 날갯짓은 또다른 ... ...
10돌 맞은 월드와이드웹의 미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웹브라우저로 HTML 문서를 보내주는 웹서버용 프로그램 언어, 웹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작은
응용 프로그램인 애플릿 제작으로 월드와이드웹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같은 특징은 동상과 같은 정적인 이미지에서 사용자와 함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생명력을 월드와이드웹에 가져다줬다.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그것은 선체가 작아 적을 제압할 병사와 무기를 적제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크고
작은
왜변에 조선 군선이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자, 중종 18년 군선 제작 회의에서 대형 군선을 만들자는 제안이 나왔고, 백병전을 위주로 하는 왜선을 제압하기 위해선 대형 군선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이 계속 ... ...
이전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