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스 알라모스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보고 인·공·생·명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모델들이 처음보다 더 풍부해져야 할 것이라고 듀드니와 다른 과
학자
들은 말한다. 모델들은 성장과 경쟁 그리고 진화의 과정을 결합시킨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이들이 개별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 ...
침팬지는 무서운 약탈자가 된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한다. 그런데 암컷은 일부 일처제를 싫어하고 끊임없이 여러 수컷과 교미하려고 한다.
학자
들은 암컷의 이같은 태도가 새끼를 여러수컷이 보살피게 하려는 의도에서 생긴 것 같다고 한다 ... ...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젊은 과학도의 의욕적인 연구를 북돋는데 이 상은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과
학자
를 꿈꾸는 젊은이에게 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우선 꿈을 가지라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그래야 일의 추진력이 생기거든요. 그러나 그 꿈이 허황되지 않으려면 실력이 밑받침되어야 합니다.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김용준 마지막으로 저는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과
학자
자신들의 역사의식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심하게 말하면 그동안 과학기술자들은 스스로를 제품화시켜 만족하는 측면이 없지 않았는데, 한 역사의식을 지닌 인간으로서 창조력을 발휘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 ...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우리 건설회사나 큰 석유관계 회사에서는 해외 진출을 기도하고 있다. 이런 곳에서 지질
학자
들은 무한한 일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이런 큰 해외 건설이 지질조사 없이 또는 소홀히 이루어졌을 경우 예기치 않은 사고로 큰 손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최근 말레이지아에서는 고속도로 건설시 ... ...
PC초보자의 손자병법 처음부터 전문가는 없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있게 마련이다. 그것을 새로운 시대의 징후라고 하여 관심과 연구의 대상으로 삼을 사회
학자
가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다른 각도에서 보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PC가 다른 어떤 기계나 도구와도 다른 특성들을 가지고 있기만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역시 그것을 이용하여 어떤 일을 좀더 쉽게 그리고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한계는 자명한 만큼 우주로 눈을 돌리는 것이 현명한 일이 될 것이다. 실제로 많은 물리
학자
들이 광속에 의해 묶여있는 금세기 물리학의 패러다임이 천체 현상에서 돌파구가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새로운 고체물리학이 중성자성의 내부를 설명하게 될 지, 새로운 입자물리학이 다시 우주론을 ... ...
대통일이론의 아버지 셸든 글래쇼 Sheldon Glashow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그해 봄에는 Z입자까지 발견한 것이다. 과학대중화에 남다른 재능보여 소립자물리
학자
중에는 소립자가 그렇듯이 별난 사람들이 많다. 진지하고 금욕적인 사람, 재능이 철철 넘쳐 대하기 어려운 사람, 깊은 묵상에 잠겨 언뜻 보기에는 무능하게 보이는 사람, 기회 있을 때마다 쿼크를 내세우는 ... ...
초능력의 세계를 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를 일종의 코로나 방전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이런 관점에서는 소련의 과
학자
'빅터 아마멘코'가 한 실험, 즉 식물잎의 일부를 잘라내고 키를리안 사진을 찍었더니 잘려나간 부분에서도 '오라'가 나타난다는 현상을 설명하지 못한다. 아뭏든 키를리안 사진을 계기로 해서 미국에서는 6 ... ...
학문의 길로 가고 싶은데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고려할 때 정부가 생각하는 15만명의 과
학자
수는 넘쳐 남아나는 수자가 아니라고 본다. 과
학자
에 대한 수요는 그리 걱정할 일이 아니라고 본다. 문 순수히 학문생활을 한다 해도 보다 유망한 분야가 있을 수 있는지 알고 싶다. 특히 한국사회가 보다 필요로 하는 학문이 있는지…. 답 문명히 보다 ... ...
이전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