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55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울증은 흡연보다 당신을 더 빨리 늙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9
있다"고 말했다. 앤드류 스텝토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심리학 및 역학과
교수
는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위 같은 요인이 노화와 관련 있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라며 "반복 실험을 통해 이런 예측이 실제 실현되는지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네트워크 기술 적용해 SSD 성능 대폭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8
시스템에 비해 데이터 처리량이 2배 많고 응답 시간도 약 10분의 1로 줄였다. 김동준
교수
는 “네트워크 패킷 기술이 적용된 SSD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한 것”이라며 “데이터센터나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에서 늘어나는 고성능 SSD 요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쉬운’ 과학용어보다 ‘익숙한’ 과학용어가 더 중요하다
2022.09.28
모두 살찌우는 촉매가 된다. 국립국어원 제공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
교수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 ...
[과기원은 지금] 고동연 KAIST
교수
팀, 기체분리 전자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8
분리에 어려움을 겪던 여러 기체 혼합물을 분리하는데 성공했다는 데 의미를 가진다. 고
교수
는 "2018년부터 시작된 수소 경제 도입 및 활성화 정책에 따라 수소 생산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며 "전자 조사를 통한 분리막 기반 분리 공정을 확대 적용해 국가 에너지 안보 확립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 ... ...
탄수화물 줄인 채식…건강·다이어트·탄소배출 저감 '일석삼조’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그룹보다 하루 평균 0.63kg 적은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젠킨스
교수
는 “저탄수화물 채식 식단과 일반적인 채식 식단 모두 체중감량과 혈당조절에 효과가 있었다"며 "이런 가운데 식물성 식품 위주의 식단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데 더 큰 효과를 보였다"고 말했다 ... ...
한 번 충전으로 630km 달리는 '무음극 배터리'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포스텍(POSTECH)은 박수진 화학과
교수
와 서동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무음극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음극재는 배터리를 충전할 때 양극에서 나오는 리튬이온을 음극에서 받아들이는 소재다. 일반적인 배터리는 충전과 ... ...
폐암 방사선치료 때 방사선량 노출늘면 심방세동 위험 '15배'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동방결절 방사선 선량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말했다. 윤홍인
교수
는 “이번 연구는 방사선치료 지침에 반영될 수 있는 동방결절 제한 선량에 대한 근거를 창출했다”며 "연세의료원이 2023년 국내최초로 시작하는 중입자치료는 주변 정상 장기 선량을 감소시켜 폐암 환자의 정상 ... ...
브레인칩 하나로 생쥐 조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투여해 반복 행동을 유도하거나 식욕 억제가 가능함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조일주
교수
는 “뇌질환 메커니즘 규명과 치료제 개발에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일주 고려대 의대 의과학과
교수
, 신효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과 윤유상 ... ...
[과기원은 지금] 강주헌 UNIST
교수
팀 혈액정화 치료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7일 공개됐다. ■ 포스텍(POSTECH)은 이대수 물리학과
교수
, 박세영 숭실대 물리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10나노미터(nm, 1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보다 작은 영역에 데이터를 그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준안정 상태의 강유전체인 칼슘티타네이트(CaTiO₃) 박막은 탐침으로 살짝 ... ...
배터리 없이 작동하는 무선 수중카메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26
양식장에서 물고기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디브
교수
는 "팀에서 기후모델을 제작 중인데 바다의 경우 95% 이상의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정확한 기후모델을 구축하고 기후변화가 수중 세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모니터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이전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