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869건 검색되었습니다.
야한 엄마의 아들이 더 섹시하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아니라, 부모가 처한 환경이 후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는 연구 결과”라며 “
인간
부모가 처한 환경 또한 자식에게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지만 쥐에 비해 유전적으로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밝히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 ...
이상형도 아닌데 왜 그 사람에게 끌리지?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파괴된 생태계에서 새로운 희망을 찾았다.
인간
의 발길이 끊긴 그곳에선 야생의 소리풍경이 회복되고 있었다. 지은이는 “이제라도 자연에 개입하는 일을 줄이고, 자연의 노래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말한다 ... ...
첼랴빈스크 유성 폭발 비밀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또 연구진은 분석에 쓰인 고대 화석 18종 모두 1만8000년 이전의 것들인 점을 들어 늑대가
인간
에게 길들여지기 시작한 시점이 최소 1만8000~3만 년 전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시기는 유럽 사람들이 농사가 아닌 수렵채집으로 생활할 때다. 연구진은 "늑대가 사람들과 함께 사냥을 하면서 ... ...
신종AI 변형바이러스에 사람이 처음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일어나지 않는 것 같다”며 “변종 H6N1이
인간
에 대한 친화력을 높여가고 있는 만큼 향후
인간
을 위협할 수 있는 바이러스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H6N1의 안전지대일까. 연세대 생명공학과 성백린 교수는 “2010년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조사 결과에 ... ...
[채널A]소설가 베르베르 내한…“한국은 제2의 조국”
채널A
l
2013.11.17
기자가 작가를 만났습니다. [리포트]
인간
은 진화할 수 있을까? 소설 ‘제3인류’는
인간
의 진화에 의문을 던지며 시작합니다. ‘제3인류’는 현생 인류인 ‘제2인류’가 진화한 미래의 인류. 몸집은 10분의 1로 줄어들어 평균 키가 17센티미터인 소인입니다. 이런 과학적 상상력은 20년 전 출간한 소설 ... ...
집은 기다림과 자기 철학의 공간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경쟁의 대상이 돼버렸다. 특히 집은 사람이 사는 주거공간으로 편안한 휴식처이자
인간
다운 삶을 누리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이 아니라, 욕망의 대상이 됐다. 삶을 얼마나 더 편안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가에 대한 사용가치가 아닌 다른 물품과 교환할 수 있는 교환가치가 얼마나 되는지를 더 높게 ... ...
한국형 독자 뇌DB 만들면 치매발병 5년전 대처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3.11.15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경우 올해부터 10억 유로(1조6000억 원)를 투자해
인간
뇌의 구조를 밝히기 위한 ‘휴먼브레인프로젝트’를 시작했고, 미국도 뇌 연구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내년부터 ‘브레인액티비티맵’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도 2011년 개원한 ... ...
신라가 망한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13
있는 우리 문화유산’ ‘신토불이 우리 문화유산’ ‘노벨상이 만든 세상’ ‘로봇,
인간
을 꿈꾸다’ ‘과학으로 보는 삼국지’ 등 다수다. ※ 편집자 주 동아사이언스가 발행하는 인터넷 과학신문 ‘더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가 공룡유산답사기, 과학유산답사기 2부, 전통마을을 ... ...
대화는 사람만 한다고? 아니 세균도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3
위해 사용하는 화학물질에 대해 소개한다. 또 세균의 의사소통 방식과 단체행동을
인간
사회와 비교해 볼 예정이다. 이에 앞서 이행자 부산과학기술협의회 교사는 ‘창의 공학 설계’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15일 오후 6시 3 ... ...
철새는 ‘바이러스’를 싣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1.13
병원성에 따라 고병원성 AI와 저병원성 AI로 나뉘는데, 고병원성 AI는 가축 뿐만 아니라
인간
이 감염될 가능성도 높다. 대표적인 고병원성 AI 바이러스는 1997년 홍콩에서 인체 감염 사례가 최초로 보고 된 후 거의 매년 나타나고 있는 'H5N1형' 바이러스와 올해 초 새롭게 발견된 ‘H7N9형’ ... ...
이전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