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만들려고 한다. 몇 개의 정팔면체와 정사면체가 필요하겠느냐?”“네? 갑자기 웬
문제
예요? 정사면체의 비밀과 관련이 있는 건가요? 풀면 비밀을 알려 주세요.”정사면체와 정팔면체의 만남모서리의 길이가 같은 정사면체 4개와 정팔면체 1개를 조합하면 어떤 도형이 만들어질까? 놀랍게도 모서리의 ... ...
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세대는 삶의 목적을 잃고 방황할 수도 있다. 우주선 안의 사회가 안정을 유지하려면 심리
문제
를 꾸준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여행 도중 사회에 변혁이 일어나 우주 여행을 하는 목적 자체를 잊어버린다면 큰일이 아닌가.자면서 여행한다오랜 세월이 걸리는 우주 여행을 위해 승무원들이 동면에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미국화학회 회장인 퍼듀대조셉 프랜시스코 교수도 “이들의 업적이 인정받는 건 시기의
문제
였을 뿐”이라며 노벨상 선정이 당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4~5년 전 은퇴해 현재 아내의 모국인 필리핀에서 살고 있는 헤크 교수는 노벨상 수상 소식을 듣고 “너무 기쁘고 놀랐다. 상을 기대하지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지난 10월 11일부터 16일까지 대전 컨벤션센터에서는 핵융합 기술의 최신 연구 성과를 점검해 볼 수 있는 제23회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 ... ITER조차 2019년에야 건설이 완료돼 첫 플라스마 실험을 할 수 있다”며 “에너지
문제
는 100년을 내다보는 장기적인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단백질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이온화 과정에서 분자가 파괴되기 쉽다. 1980년대 후반 이런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이온화 기술이 등장했다.1987년 일본 시마즈 제작소의 직원이었던 다나카 고이치는 레이저 광선을 흡수하는 유기화합물인 ‘매트릭스’를 이용해 단백질을 이온화하는 데 ... ...
빛의 냄새 맡는 쥐가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맡는 신경 회로를 따로 분리해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머피 교수팀은 이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탄생한 분야인 광유전학을 적용했다.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을 쥐의 후각 기관에 합성한 것이다. 이렇게 탄생한 쥐는 냄새 신호가 전달되는 신경이 냄새가 아닌 빛에 의해활성화된다.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기술이다. “플라즈모닉스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의 광학 지식으로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
를 많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돋보기로 햇빛을 모으면 한 점에 빛이 모이지요? 이런 점을 ‘핫스폿’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자연 상태의 빛으로는 그 빛이 가진 파장 길이의 절반 이하로는 핫스폿을 만들 수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물리Q1. [민감성, 정교성] 일반적인 권총의 탄환은 질량이 2~5g 정도이고, 발사시 속도가 약 300m/s다. 영화 속 주인공이 멋지게 권총탄 10발을 명중시켰다고 할 때, 체중 ... 다음과 같다.1번
문제
의 답은 정팔면체의 그래프이고, 2번
문제
의 답은 정이십면체의 그래프이고, 3번
문제
의 답은 19다 ... ...
[물리] 전기와 자기의 상호작용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다른 관점에서 볼 때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결과입니다. 따라서 전자기 유도와 관련된
문제
를 다룰 때는 어떤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합리적인지 먼저 살펴봐야 합니다. 2) 자기장 내에 들어간 도선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이 도선은 위쪽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 힘의 크기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발생해 양성자만으로 원자핵이 구성되기는 쉽지 않다. 전하를 띠지 않는 중성자가 이
문제
를 해결한다. 중성자가 전하를 띠지 않아 양성자와 중성자는 강한 핵력만 작용해 원자핵 내부에서 강하게 결합한다. 중성자와 결합한 양성자가 양성자나 동일한 다른 쌍과 결합하면 중성자가 양성자와 ... ...
이전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