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박
복부
범선
돛단배
선
용기
기량
d라이브러리
"
배
"(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예시력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한 몸에 담겨 있는 정보는 인류가 지금까지 만들어낸 책을 모두 더한 것보다 수백만
배
이상 많다. 그러나 웜홀을 통해 현재의 수신자에게 전달되는 미래의 정보가 매우 자세할 필요는 없다. 지금까지 문서화된 모든 예언을 살펴보면 한가지 공통점이 발견되는데, 미래의 상이 항상 윤곽만 가까스로 ... ...
② 자연요법7: 전자기 치료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있다. 레이저침으로 경혈에 자극을 가한 후 인체의 자기장을 측정한 결과 자기장이 30-50
배
나 상승했다. 자극의 형태가 전기이든 자기이든, 또는 광에너지(적외선 혹은 레이저)이든 경혈을 통해 일단 들어가면 몸에서 자기장에너지로 바뀐다는 뜻이다.경락체계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함께 실제 치료에 ... ...
말레이시아 시파단섬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도착한다. 이곳에서 버스로 1시간 30분을 달리면 셈포르나항에 이른다. 모든 짐을
배
에 싣고 쾌속선으로 40분을 다시 달리면 손바닥만한 섬이 눈에 들어온다.시파단섬의 물색은 연두빛이며 백사장은 산호가 부서져내려 눈부시다. 시파단섬은 섬 전체가 다이빙 포인트다. 물속 환경은 매우 다양해 아주 ... ...
땅 위에 살게 된 최초의 식물 이끼 기르기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습도를 언제나 높게 유지해 초목의 성장을 돕는다. 특히 물이끼같은 경우는 제 몸의 15-20
배
의 물을 몸안에 저장할 수 있다.소나무 잎을 닮은 솔이끼솔이끼류는 모양이 마치 소나무잎처럼 생겼다. 솔이끼류에는 들소이끼, 주름솔이끼, 솔이끼 등이 있다. 이들은 우산이끼와 달리 줄기와 잎을 구별할 수 ... ...
2. 인간과 기계의 두뇌 싸움 역사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인공지능은 컴퓨터과학과 신경생리학 등 다양한 학문 속에서 적지 않은 성과를 보여 왔다. 그러나 아직도 궁극적인 목표인 '생각하는 기계'의 실현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 ... 없으며, 통과하더라도 결코 인간의 지능을 능가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것이 아직도 지
배
적인 견해다 ... ...
은하계 중심 사수자리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삼렬성운(M20)은 라군성운 북쪽으로 1.5도에 놓인 성운이다. 작은 망원경을 써서 낮은
배
율로 봐야 같은 시야 속에 보인다. 삼렬성운은 라군성운보다 훨씬 작고 어두워 보기가 쉽지 않다. 초기에는 라군성운과 마찬가지로 성단으로 알았으나 존 허셜(천왕성을 발견한 윌리엄 허셜의 아들)이 갈라진 ... ...
1. 인간을 이긴 컴퓨터가 전하는 메시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것은 또다른 차원의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지난 85년 대만 재벌 응창기씨는 '응창기
배
세계 컴퓨터 바둑 대회'를 열면서 주최자가 지정한 바둑 기사를 꺾는 컴퓨터 프로그램에게 1백50달러의 상금을 수여하겠다고 발표, 바둑 컴퓨터 개발에 불을 붙였다. 그러나 현재 나와 있는 바둑프로그램들의 ... ...
몸안에서 생기는 진통제 엔도르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의한 진통작용은 대수술로 인한 통증을 제거하기위해 사용되는 모르핀보다 1백-3백
배
나 더 강한 진통작용을 가지고 있다. 동통의 전달은 통증전달경로를 구성하는 신경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그림2). 길을 가다가 못을 밟았다고 가정해보자. 못의 뾰족한 끝은 신발을 뚫고 피부세포를 파괴할 것이다. ... ...
페니스는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발기한 남근을 닮아 있지 않은가.영원도룡뇽과에 속하는 동물. 등은 검고 날카로우며
배
부위에는 선홍색 바탕에 불규칙한 반점이 있다. 4-5월에 2-3백개의 알을 물 속에 낳으며, 늦가을에 물에서 나와 돌이나 나뭇잎 사이에서 동면에 들어간다 ... ...
Ⅰ. 과학과 상상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태양질량의 약 2백만
배
이고, 안드로메다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은 태양질량의 약 3천만
배
이다. 그러므로 그곳에 가더라도 죽는 일은 없지 않을까. 물론 밀도가 낮은 블랙홀 표면에서의 이야기다.1. 우주선에서 빠져나온 비행사가 블랙홀에 빠지는 순간공간은 평평하다. 우주선의 벽시계와 비행사가 ... ...
이전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