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즐마스터] Mr. 퍼즐의 정체를 밝혀라!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 인터뷰 "퍼즐은 문제해결력을 길러줍니다!" 박흥철 한국창의퍼즐협회 사무총장 2013년부터 우리나라 청소년을 이끌고 세계 퍼즐대회에 참가한 한국의 퍼즐 고
수
... 문제를 풀어 주목받기도 했었죠. 퍼즐을 통해
수
학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어요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이호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
수
의 연구실에는 거대한 냉장고 4대가 놓여 있다. 냉장고 안에는 음식 대신 이차 ... 할 뿐 아니라 무엇이든 먹어 치워 퇴비로 만들기 때문에 쓰레기 처리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며 “지속적으로 지렁이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UN우주임무기획자문그룹이 보낸 우주선 중 하나가 소행성과 충돌하는 데 성공했어요. 그런데 왜 뉴욕이 불바다가 됐던 걸까요? 소행성 추 ... 가진 열을 감지해 볼
수
있죠. 훈련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하루 빨리 네오캠을 쓸
수
있도록 국제사회에 협력을 요청하면서 학회를 마무리했답니다 ... ...
번식지, 난도에서 무슨 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범인들이 훔쳐간 알이 무려 1600개? 경찰 인생 10년 만에 이런 절도 사건은 또 처음이네요. 범인들은 알을 가져가 어디에 쓰려고 했던 걸까요? 난도에 잠 ... 형태라 포식자가 접근하기도 쉽지요. 따라서 포식자가 나타났을 때 함께 대응하기 위해
수
만 마리가 무리를 지어 번식하는 거예요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식물도 움직일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여러분은 물을 마시고 싶을 때, 어떻게 하나요? 아마 자리에서 일어나 물이 있는 곳까지 걸어갈 거예요. 하지만 식물은 사람과 같은 동물처럼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해요. 뿌리가 한 ... 틔워 보세요. 그러면 내가 만든 미로를 요리조리 피해가는 구불구불한 식물을 키워볼
수
있답니다 ... ...
[섭섭박사 실험실] 데굴데굴 물방울 구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살짝 밀쳐내기만 할 뿐, 모기에게 별 충격을 주진 못했답니다. 모기의 날개와 머리가 초소
수
성이기 때문에 빗방울과 모기가 닿자마자 튕겨나간 거예요. 빗방울이 모기에게 힘을 가하는 시간이 너무 짧아 모기에게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 거죠. 어떻게 된 걸까? ☞결과 : 물방울이 프라이팬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도전과 실패가 쌓여있다. 그래서 이듬해 성공할 것이라는 예상이 적중하면 더 큰 박
수
를 보낸다. 물론 단지 늦는다는 이유로 무조건 비난하는 일도 없다. 내년, 아니 앞으로의 10년 동안 한국 과학계도 이런 대우를 받았으면 좋겠다 ... ...
[과학뉴스] 인간의 척추는 왜 이런 모양?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연구를 통해 ‘우리 몸은 어떻게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됐을까’라는 오래된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7일자에 게재됐다. doi: 10.1038/s41467-019-13026-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잠깐 있을 거면 그냥 들어가고, 오래 있을 거면 이거 입으세요.”11월 8일 인천 연
수
구 극지연구소. 허순도 극지고환경연구부 책임연구원 ... 구조를 가진 얼음이 등장하곤 한다”며 “더 이상 파지 못하거나 시추관이 휘어지는 등
수
많은 난관을 어떻게 극복할 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 ...
2020년 전망, 어떤 과학 이슈가 주목 받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2020은 최초로 화성 표면에서 2m 깊이까지 땅을 시추해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임무를
수
행합니다. 전기·전자┃차세대 AI 반도체 확대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등 더욱 완벽한 사물인터넷(IoT)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차세대 초지능, 초저전력 기술에 기반한 지능형 반도체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 ...
이전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