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우리나라 연구팀, 국제 로보컵 대회 우승!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주문을 받는 등 돌발 상황에도 자연스럽게 대처해야 하지요. 서울대학교 장병탁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지능 프로그램 ‘오페어(AUPAIR)’는 점원, 심부름, 가이드 등 총 8개 임무에서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어요. 그 결과, 본선에 진출한 7개 팀 중 1위를 차지했지요. 특히 행사장을 안내하는 ... ...
- Intro. 과학으로 안전하게 해체한다! 굿바이~, 고리 1호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지난 6월 19일,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인 고리 1호기가 영구 정지 됐어요. 앞으로 고리 1호기는 5년간의 준비 과정을 거친 뒤, 본격적으로 해체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에요. 그런데 원자력 발전소를 해체하는 데는 15년 이상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고 해요. 대체 왜 이렇게 오래 걸리는 걸까 ... ...
- Part 3. [고리 1호기] 해체까지 남은 숙제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사람이 직접 자르기 어려워요. 또 사람이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이 있지요. 그래서 연구팀은 원격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사람 대신 로봇 팔이 원자로 압력 용기와 원자로 내부 구조물을 레이저로 자르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답니다. 사용후핵연료는 어디로? 방사성 폐기물은 열과 방사능 준위에 따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OSCURS)’라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입력해 이동 경로를 추정했답니다. 에베스메이어 연구원은 “이렇게 러버덕들의 이동 경로를 분석한 결과, 북태평양 환류의 순환 주기가 3년 정도란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낼 수 있었다”고 말했답니다. “해류! 해류였어! 1432년에 해류를 멈추려고 누군가가 ... ...
- [과학뉴스] 태양의 중심은 표면보다 더 빨리 회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같은 태양이라도 표면과 안쪽 부분인 중심핵의 회전 속도가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그동안 태양의 표면과 중심핵이 회전하는 속도에 대해서는 과학 ... 알아낼 수 있는 단서가 된다”며,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태양의 형성 과정을 밝혀내는 연구를 계속 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 고리 1호기!물질을 이루는 기본 입자인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어요. 무거운 원자핵이 외부의 힘을 받으면 두 개 이상의 가벼운 원자핵으로 나뉘면서 에너지가 발생해요. 이 에너지를 ‘원자력’이라고 하지요. 원자력 발전소는 이름 그대로 원자력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서울 우면초 4)대원은 “민물고기 탐사는 처음 참가했는데 그 재미에 흠뻑 빠졌다”며, “연구소에서 다양한 민물고기를 직접 보며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
- Intro. 꽁꽁 얼려서 미래에 녹인다!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 난 냉동 기술을 연구하는 당나귀 과학자 동키! 최근 난 최초의 냉동 당나귀가 되어 미래에 깨어나기로 결심했어! 2050년에 깨어나도록 설정해 놓고 내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인 당근과 함께 냉동 캡슐에 들어갔는데…, 아뿔싸! 캡슐 밖으로 당근이 삐져나가고 말았네?! 어떻게 하면 완벽한 냉동 ... ...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이준혁 박사님은 “이 단백질을 인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려면 아직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면서도 “앞으로 냉동 인간 기술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꽁꽁 얼려서 미래에 녹인다! 냉동인간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Part ... ...
-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보존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얼렸던 정자와 난자를 녹여 체외수정을 하는 연구도 활발해요. 호주의 한 남성은 10대 때 희귀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 때문에 불임이 될 수도 있다는 의사의 말에 정자를 따로 냉동 보관했어요. 그리고 23년이 흐른 지난 2015년, 이 정자를 녹여 체외수정을 했고, ... ...
이전6526536546556566576586596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