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선통신 가능한 ‘전자피부’, 세계 최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7.11
- 손쉬운 원격진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장경인 로봇공학전공 교수팀은 미국 일리노이대 존 로저스 교수팀과 공동으로 무선통신 기반 인공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피부처럼 늘어나고 탄성이 있는 물리적 전자피부는 종종 나왔지만 전자기기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2017.07.11
- 휴스턴 근교에 짓고 있는 25메가와트급 데모 플랜트는 로드니 알램이라는 은퇴한 화학공학자가 고안한 ‘알램 순환(Allam cycle)’을 채택한 천연가스발전소다. 이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천연가스복합화력발전을 잠깐 살펴보자. 천연가스와 공기를 혼합해 연소하면 ... ...
- 초미세먼지 거르며 재사용 가능한 공기청정기 필터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7.10
- 효과적으로 걸러내면서 재사용도 가능한 필터를 개발했다. 고승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해 필터 한 장만으로 초미세먼지까지 걸러내는 필터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효율과 친환경을 모두 잡았다. 은 나노 와이어를 이용한 필터 개념도 - 서울대학교 제공 ... ...
- 육아 로봇이 아이 떨어뜨리면 누구 책임일까?동아사이언스 l2017.07.09
- 아시모프는 그의 소설에서 로봇이 인간을 지배하게 될 상황에 대해 우려하며 ‘로봇공학의 3원칙’을 제시했다. 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끼쳐서는 안 되며 위험에 처해있는 인간을 방관해서도 안 된다는 1원칙, 1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경우 로봇은 인간의 명령에 반드시 복종해야만 한다는 2원칙. ... ...
- 음속 바람 발사해 OLED 제조 시간 10분의 1로↓동아사이언스 l2017.07.09
- 제조 시간을 10분의 1로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제조법을 개발했다. 윤홍석 한밭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음속으로 분사되는 에어젯 바람을 이용해 여러 층으로 구성된 OLED 박막을 한 번에 원하는 곳으로 옮길 수 있는 고속전사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에어젯은 질소, 아르곤, ... ...
- [2017 과학기술연차대회] “학제간 융합 연구, 구체적 목표 분명히 해야”동아사이언스 l2017.07.07
- 인력 부족 해결). 박태현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은 “질병문제 해결을 위해선 과학자와 의사의 벽을 허물고 의대와 병원의 임상 데이터, 인프라, 연구 인력 등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용현 국민의당 의원은 “융합 연구에서 제일 ... ...
- [2017 과학기술연차대회] 과학계 종사자 90% “허울뿐인 4차 산업혁명?... 아니! 빠르게 진행 중인 현실”동아사이언스 l2017.07.07
- 99), 바이오(1.97), 기초과학(1.95), 기계및로봇(1.9) 등이 뒤를 이었다. 이우일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ICT와 화학 분야 기술이 기초과학 분야보다는 살짝 앞선 것으로 평가받았지만, 대체적으로 모든 분야가 후발주자 위치에 있다”며 “명확한 연구개발 주제를 설정해 따라잡아야 한다”고 ... ...
- [2017 과학기술연차대회] 文 대통령, “과학기술인들 창의적 연구 뒷받침 할 것”동아사이언스 l2017.07.07
-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와 황규영 KAIST 전산학부 특훈교수가 각각 자연·생명 부문과 공학 부문에서 과학기술 분야 국내 최고 권위의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대통령상)을 수상했다 ... ...
- 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 개소수학동아 l2017.07.06
- 연구 집단 발굴 및 육성,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핵심 연구 분야 육성을 위해 이학, 공학, 기초의과학, 융합 분야에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부터 산업수학 분야를 추가해 선정했다. 서울대는 센터장인 천정희 수리과학부 교수를 비롯해 핵심 연구원으로 교수 11명을 선정했다. 이들은 앞으로 ... ...
- “아이는 엄마의 성을 따라야 한다” 왜 그럴까?과학동아 l2017.07.04
-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첫 방송에서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생물학적으로 아이의 성은 아빠가 아니라 엄마의 성을 따라야 한다”고 했는데요. 이런 주장을 한 이유는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DNA 때문입니다. 사람의 세포에는 핵, 소포체, 미토콘드리아 등 다양한 ... ...
이전6526536546556566576586596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