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행성에 한국과학자 이름 붙는다
과학동아
l
200404
이름이 붙여졌다.한국천문연구원 문홍규 연구원은 “국내에서 발견한 소행성 5
개
의 고유명칭으로 제안했던 최무선 이천 장영실 이순지 허준의 영문 이름이 국제천문연맹으로부터 3월 6일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이 소행성들은 2000-2003년에 한국천문연구원의 전영범 박사와 이병철 연구원이 ... ...
두
개
의 혜성, 봄하늘을 가르다
과학동아
l
200404
큰
개
자리에서 나타나 이후 급속도로 북상한다. 5월 10일 경에는 외뿔소자리를 지나 작은
개
자리에 다다르며 이후 게자리로 그 위치를 옮긴다. 니트혜성의 근일점 통과일인 5월 중순, 혜성은 전성기를 맞이한다. 이때 혜성의 밝기는 2등급대에 달하며 초저녁 서쪽하늘에서 그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 ...
터미네이터 만드는 로봇갑옷
과학동아
l
20040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HAL을
개
발한 산카이 교수는 “이미 장애인용 로봇팔의
개
발에 착수했으며 궁극적으로 옷 안에 장착할 수 있을 정도로 장비를 얇게 만들어 실제 손과 별 차이가 없게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로봇기술이 무쇠팔, 무쇠주먹을 갖춘 군인을 탄생시킬지, 걷지 못하는 사람을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04
대륙충돌의 증거로는 과거 암석 속에 숨어있는 초고압 광물이 있다.충돌 증거 찾기 두
개
의 대륙이 충돌하면 충돌부가 압축된다. 그래서 두 대륙의 지각물질은 땅 위로는 히말라야와 같은 거대한 산을 형성하며 솟아오르고, 땅 아래로는 이보다 훨씬 깊은 곳으로 들어간다. 이때 지각물질이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04
의해 동해가 확장됐다고 본다.연구자들은 이 주장의 근거로 한반도와 일본에 있는 2
개
의 단층을 제시했다. 하나는 일본 북쪽에 위치한 일본의 히다카-타타르 전단대, 다른 하나는 한반도 남쪽에 위치한 양산단층이다. 수제비용 밀가루반죽을 잡아당겨서 떼어내면 그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 ...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04
남성호르몬 수치를 최고 16배까지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복분자가 성기능
개
선 효과가 있다는 말이 근거가 없는 얘기는 아닌 셈”이라고 말했다.이밖에도 노화억제에 관련된 항산화작용, 위염을 일으키는 헬리코박터균에 대한 살균작용 등이 동물실험에서 확인됐다. 최근에는 잎에서 얻은 ... ...
잠은 문제 해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0404
한다는 실험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자원자들을 대상으로 서로 연관되는 단어 40
개
를 제시한 다음, 화면에 한 단어를 보여주고 짝이 되는 단어를 찾는 기억실험을 실시했다. 일반적으로 지식과 관련된 서술적 기억은 서파수면기에 강화된다고 알려져 있다.자원자들은 기억과제를 배운 다음 ... ...
제주서 5만년 전 사람 발자국 발견
과학동아
l
200403
지금까지 구석기인의 발자국 화석은 아시아에서 발견된 적이 없으며 전세계적으로도 6
개
국 밖에 없을 정도로 아주 희귀하다. 제주 발자국 화석이 한반도에서 인류의 초기 활동을 연구하는데 신기원을 이룰 귀중한 자료로 큰 기대를 모으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김 교수는 “사람 발자국은 21-25cm ... ...
1백년 뒤에는 언어 절반 멸종
과학동아
l
200403
시급하다고 회의 참석자들은 주장했다.한편 사라져 가는 언어를 되살리려는 노력도 전
개
되고 있다. 유네스코는 이런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난 1999년 ‘세계 모국어의 날’ 을 만들었다. 지난 2월 21일은 다섯번째로 맞는 세계 모국어의 날이었다. 유네스코는 다언어사용주의(multilingualism)를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03
비롯한 과학자들의 거의 공통된 의견이다. 스톡홀름 시청은 매년 노벨상 시상식이
개
최되는 곳이다. 하루 3-4시간만 자는 그의 고된 연구생활이 10여년 뒤 후배 과학자의 영광으로 꽃피울지 지켜볼 일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세계 최초 치료용 복제 성공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2. ... ...
이전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