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7,647건 검색되었습니다.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08
해령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로써 해령과 해령
사이
에 있는 단층부분에서는 지진이 발생 하지만 해령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분에서는 지진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윌슨은 이러한 형태의 단층을 가리켜 변환단층(transform fault)이라고 ... ...
정부출연 연구소 부처찾기 그 내막은?
과학동아
l
199108
이를 웅변해 준다. 연구원들이 해결주체로 나서야연구기관 설치목적과 연구내용 수행
사이
의 괴리도 극복되어야 할 숙제로 지적되고 있다. 정부에 의해 또는 정부주도로 설립된 모든 연구기관들은 설치법령이나 정관에 분명히 '사회공익적 연구수행'을 목적으로 명시하고 있으나 불행하게도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08
이론도 생물간의 간격이 커질 경우 설 땅을 잃게 된다. 예를 들어 개와 늑대, 쥐와 생쥐
사이
의 간격도 상당하지만 육지에 사는 포유동물의 조상이 어떻게 도약적인 진화를 해서 바다의 포유동물인 고래의 조상으로 변할 것인가. 더구나 연체동물의 조상이 5백만년 혹은 1천만년 동안 변하지 않다가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08
있는가 살펴보자.대기는 태양에너지와 지구-대기로부터 외계로 나가는 복사에너지
사이
에서 정교한 에너지 균형을 유자하고 있다. 따라서 그 균형이 조금이라도 깨지면 기후는 복잡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변화된다는 이론이 있다. 이른바 되먹임(feed back)이론이다.예를 들어 대기가 서서히 ... ...
세계 최초의 로봇의사 탄생
과학동아
l
199108
때문이다.만일 이번 수술에서 로보닥의 활약이 두드러지면 앞으로 외과의사들
사이
에서 큰 인기를 누리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또 프로그램을 약간 바꿔주면 안과수술시 성공의 관건이 되는 정확한 절개임무를 떠맡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 중이(中耳)에 있는 아주 작은뼈들을 교정하고, 뇌종양을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08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구로부터 거리는 6백20pc(파섹, 1pc는 3.259광년)에서 7백80pc
사이
로 최근에 발표됐다.'별이 없는 성운'이라는 묘사와 함께 메시에가 1764년 7월12일에 관측 기록한 M27은 북천(北天)에서 가장 밝은 행성상 성운이다. 그뒤 로스경이 대형망원경을 통해 이 천체를 관찰하고 역도선수의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08
울릉도 인근 해역 등 남해에서 동해로 옮겨가며 10여 차례 있었다. 1905년 5월 27일에서 29일
사이
의 일이다.발틱함대에 소속된 함선 중에는 일본 정벌을 위한 군자금 1백50조원 어치의 백금괴가 회계함인 순양함 나히모프호에 실려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나히모프호가 대마도 인근에서 침몰되면서 ... ...
「운동선수의 발」 무좀
과학동아
l
199108
때문에 피부에서 떨어져도 수개월 동안 살아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양말의 올
사이
를 통해서 구두에도 균이 새 나갈 수 있으므로, 특히 발에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구두나 운동화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 다시 신도록 해야 한다. 청결과 건조는 무좀의 예방에 가장 좋은 무기이기 때문이다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08
찾을 수 있다.그에 비해 동양에는 비밀이라는 것이 거의 없다. 넓은 들판에서 서로
사이
좋게 농사를 짓고 음식을 나눠 먹었기 때문에 어떤 기술이 개발되면 거리낌없이 서로 비밀을 털어 놓고 사방으로 전하게 된다. 그래서 동양에서는 별다른 비밀이 없었고 특허라는 제도도 발달되지 않았다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07
2년 동안의 기온저하는 이미 1784년 프랭클린(B. Franklin)이 지적했던 것이다. 그는 1783~1784년
사이
의 겨울이 특히 혹독했던 이유가 1783년 아이슬랜드의 래키(Laki)화산이 폭발한 후 장기간 하늘을 덮고 있던 '건조한 안개'때문일 것으로 생각했다.전지구적 기상관측망의 설치가 시작되던 1850년대부터 ... ...
이전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