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3~1662 프랑스의 수학자 · 물리학자 · 철학자 16세에 원추곡선에 관한「파스칼의 정리」를
발견
했고, 계산기를 고안했으며(19세기), 23세에 토리첼리의 진공실험을 추시(追試)하는 데 성공했다25세 때 퓌이 드 돔 산정에서의 야외실험에 의해 수은주의 높이의 증감은 대기압에 의한 것이며, 그 때까지의 ... ...
PART3 인간을 노리는 컴퓨터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윈도를 탑재한 데스크톱 PC와 PDA를 한꺼번에 감염시키는 ‘크로스오버’라는 바이러스도
발견
됐다. 세계 최초의 이종(異種) 감염 사례다. 사람과 가축 모두를 감염시키는 광견병이나 조류 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처럼 컴퓨터 바이러스도 기종을 뛰어넘어 전파될 수 있다는 얘기다.다행히 새 ... ...
기획3. 대형망원경 기술로 핵융합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한꺼번에 관측할 수 있는 2호기는 효율이 뛰어나므로 인류의 우주관을 변화시킬 훌륭한
발견
을 하기에 모자람이 없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별을 넘어 인간을 보는 천문학 기획1. 전파망원경으로 한반도 지각변동 잡아낸다 기획2. 우주날씨예보가 나온다 기획3. 대형망원경 기술로 핵융합에 ... ...
허리를 웃게 하자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북한의 의학자 김봉한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김봉한은 전자현미경으로 경락의 실체를
발견
했다고 주장했으며, 이를 ‘봉한관’과 ‘봉한소체’라고 이름을 붙여 발표했다.그러나 그 뒤 여러 의학자들이 김봉한의 실험을 재현했지만 경락의 실체가 뚜렷이 밝혀지지 않아 그의 연구는 잊혀졌다.최근 ... ...
광우병 단백질 좋은 일도 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분열하는 쥐의 줄기세포를 연구한 결과 많은 세포 표면에서 정상 프리온 단백질을
발견
했다. 이 단백질은 줄기세포가 골수에서 새 혈구세포로 분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프리온이 없는 줄기세포는 새 혈구세포를 만들지 못했다.로디시 박사는 “프리온은 아마 줄기세포가 골수 안에 ... ...
빛을 분사하는 환각버섯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들어 있는데 이 물질이 인체에 들어가면 빠르게 분해돼 사라진다. 따라서 소변에서
발견
되는 양은 매우 적고 검출하기도 어려웠다.연구팀은 “새로운 환각약물 검출법은 전통적인 자외선(UV)검출법에 비해 30%나 적은 양의 사일로신도 추적해 낼 수 있다”고 말했다 ... ...
새로운 원소 2종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큰 합성원소로 ‘초우라늄 원소’로 불린다. 2004년 러시아와 미국 과학자들이 두 원소를
발견
했다고 밝혔지만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초우라늄 원소인 아메리슘(Am)이 회전하는 원판에 칼슘 원자를 충돌시켜 원자번호 115번을 만들어냈다. 이 원자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 ...
백포도주 즐긴 투탕카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지금까지 이집트에서는 3세기에서야 백포도주가 이용된 것으로 기록돼 있어 이번
발견
은 이집트에서 백포도주의 역사를 1600년이나 앞당길 것으로 보인다 ... ...
1. 반갑다, 태권로보트야!!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줄 미처 몰랐습니다.”필름을
발견
한 것은 정말 뜻밖의 일이었다. 태권V 필름은 이번에
발견
된 것 말고도 더 있긴 했다. 서울 예술의 전당 영상자료원과 춘천에 있는 강원 첨단영상정보진흥원에서도 다른 필름을 보관하고 있다. 하지만 영사기에 걸 수도 없을 정도로 훼손 정도가 심각했다.영진위는 ... ...
노다지 꿈꾸는 북한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석유업체 타우루스(Taurus)는 초도 서쪽 66km 지점에서 하루 350배럴의 원유가 분출되는 것을
발견
했다.추정 매장량이 최소 30억 배럴에서 최대 400억 배럴에 이르는 이곳 석유는 중국 보하이(渤海)만 유전과 대륙붕으로 연결돼 있어 북한과 중국의 해상 경계선에 걸쳐 분포할 가능성이 크다. 최근 중국은 ... ...
이전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