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성 위성 타이탄은 에너지 '노다지'?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배 많이 존재한다고 지구물리학 국제저널인 ‘지오피지컬 리서치 레터스’ 1월 29일자에
발표
했다.그동안 타이탄은 메탄으로 이뤄진 두꺼운 대기에 가려 표면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지 못했다. 지난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토성궤도 탐사선 카시니에서 분리된 소형 탐사선 호이겐스가 타이탄의 ... ...
알고 보니 '젊은' 서부 그랜드 캐니언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하천의 복합작용으로 만들어졌다고 미국 지질학회지 ‘지오스피어’ 2월호에
발표
했다.미국 애리조나주 북부에 위치한 그랜드캐니언은 각종 지형이 잘 드러나 지질학의 교과서라 불리는 장대한 협곡이다. 길이 400km, 깊이 1.5km 이상인 이 협곡은 다양한 연령의 암석들과 굽이쳐 흐르는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열린 제1회 WISE 전국여고생연구
발표
대회에서 ‘나의 꿈 나의 미래’라는 주제로
발표
한 의정부여고 3학년 최은주 양. 그 자리에 있던 신라대 생물과학과 고현숙 교수는 은주 양에게 첫눈에 반했고 주저 없이 ‘러브콜’을 보냈다. 당시 은주 양은 WISE 경기센터 소속이었고 고 교수는 WISE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도로 골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소각재 처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올해 말쯤
발표
할 예정이다. 재(再)활용이 아닌 재(滓)활용인 셈이다. 백해무익해 보이던 소각재의 몸값을 껑충 뛰게 만든 것은 국내의 쓰레기 배출 현실에 맞는 토종 과학기술이다. 덕분에 ‘한 줌의 재가 돼 사라진다’는 말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뇌과학연구소 에릭 조르젠슨 교수팀이 생명과학분야 국제저널인 ‘셀’ 1월 11일자에
발표
했다.조르젠슨 교수팀은 기생충의 일종인 ‘예쁜꼬마선충’이 배설하는 도중 장 세포에서 주변 근육세포로 양성자가 대량으로 뿜어져 나오는 현상을 발견했다. 또 배설을 제대로 못하는 돌연변이 기생충의 ... ...
주사바늘의 고통이여, 안녕~!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자극하지 않는 미세주사바늘을 개발했다고 국제저널 ‘응용세라믹기술’ 1월 7일 자에
발표
했다.주사바늘의 고통과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것은 모든 환자와 의공학자의 꿈이었다. 지금까지 가장 근접한 제품은 스테인리스강과 티타늄으로 만든 미세주사바늘로 살갗을 찌를 때 부러지기 쉽다는 ... ...
블루 다이아몬드, 붉은빛의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내는 인광이 일종의 ‘지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지올로지’ 1월호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블루 다이아몬드 67개에 자외선을 쪼인 뒤 나오는 인광을 분석했는데, 인광은 파장이 660nm(나노미터, 1nm=${10}^{-9}$m)인 붉은빛과 파장이 500nm인 청록빛이 합쳐진 결과로 드러났다.호프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세균 1957년 4월 12일에 원자핵분열의 발견자 오토 한 등 독일 원자력과학자 18명이 서명,
발표
한 핵병기보유 반대 선언 교감신경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 아드레날린 등 교감신경 흥분제에 길항(拮抗)한다 교감신경 자극효과를 발휘시키는 약물 교감신경이 흥분했을 때 체내에는 카테콜아민(아드레날린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밝혀 지난해 ‘사이언스’11월 23일자에
발표
했다. 뇌의 측면과 중앙에 분포하는 보상센터는 좋은 경험을 계속 갈망하게 만드는 작용을 하는 영역. 기분을 좋게 하는 화학물질인 도파민도 분비된다.연구자들은 실험참가자들에게 퀴즈를 내 맞추면 상금을 줬다. 이때 ... ...
영화 스파이더위크가의 비밀을 통해 바라본 보호색과 위장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곤충을 더 잘 잡아먹는다고 캐나다 캘거리대 연구팀이 국제저널 ‘동물행동’ 1월호에
발표
했다. 색맹 원숭이는 뇌로 전달되는 색 정보가 적어 형태나 윤곽을 더 잘 간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흰목꼬리감기원숭이는 색맹이라는 ‘특수한’ 눈으로 보면 숨어있는 곤충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는 ... ...
이전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