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동물의 멸종을 계산하는 수학공식수학동아 l2011년 05호
- 공식에 적용시켜 본결과 1/5에 해당하는 동물은 멸종에 다다랐으며, 1/2은 보존이 어려울 정도의 개체만 남았다. 멸종위기동물 중 하나인 자바코뿔소의 개체 수는 40~60마리, 뉴질랜드 올빼미앵무의 개체 수는 120마리다. 이같은 동물은 멸종을 막는 것이 불가능하다.아델라이드대의 코리 브래드쇼 ... ...
- PART 4. 전자계산기 도입에 관한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1년 05호
- 배우는 학생 비율이 42%나 됐다. 또 답을 확인하거나 반복계산, 복잡한 문제해결에 1~6% 정도의 학생만 전자계산기를 활용한다고 답했다. 일본도 비슷했다. 반면 2009년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2위를 한 싱가포르나 3위를 한 홍콩은 조사에서 50~70%의 학생이 전자계산기를 활용한다고 응답했다. ... ...
- [수학이 만드는 미래 세상] 미래인터넷, 수학으로 새판 짠다수학동아 l2011년 05호
- 디도스 공격도 막을 수 있는 미래인터넷“고등학생이 집에서 EBS 사이트를 마비시킬 정도로 인터넷은 허점도 문제점도 많습니다. 인터넷 구조에 수리과학적 원리가 들어가면 예측가능한 네트워크가 만들어지고, 그러면 디도스 공격 같은 걸 막을 수 있어요.”강정임 미래인터넷연구팀 팀장은 ... ...
- 방정식 다시 보기!수학동아 l2011년 05호
- 바꾼다’에 출연하기도 하셨어요. 보성여중에는 학교도서관에 수학동아가 비치돼 있을 정도로, 수학동아를 사랑하는 학생들이 많았어요. 오늘은 특별히 박광순 선생님의 수업을 듣는 보성여중 1학년, 3학년 학생들과 함께했습니다.선생님, 궁금합니다!선생님, ‘방정식’은 왜 공부하나요?방정식은 ... ...
- 갑각류가 좋을까, 포유류가 좋을까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월등히 좋아진 골격구조 역할이 가장 크다”고 말했을 정도니까요.그렇다면 ‘로봇의 좋은 골격’이란 어떤 것일까요. 사람이나 동물의 뼈를 생각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뼈가 하는 일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로 신체를 지지하고 중요한 내장기관을 보호해 주는 ... ...
- 과학기자, PD는 어떤 사람이 될까?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싶어요.” Y학생은 내신성적이 1~2등급이다. 상위권 대학에 지원할 만한 성적이다. 그 정도의 성적이라면 입학사정관들에게 기본적인 성실함은 증명할 수 있다. 하지만 입학사정관제에 지원하는 대다수 지원자들 또한 성실한 학생들이다. 성실함이 기본이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뜻이다. ...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반사된 빛의 세기와 거의 같지만 상이 바뀌기 때문에 서로 상쇄된다. 빛의 파장의 약 1/4 정도 두께라면 AR 필름에 입사한 두 반사광은 상쇄 간섭을 일으켜 우리가 보는 눈부심을 최소화시킨다.3D 입체안경 만들어볼까편광 선글라스의 원리를 이용해 입체 영화를 볼 수도 있다. 바로 선글라스의 왼쪽 ...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과학동아 l2011년 05호
-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체르노빌과 다르다. 우선 방출된 방사선의 양이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적다. 더구나 국내 검출량은 모두 기준치보다 한참 낮은 수준이다. 다만 한 번 배출돼 침착되기 시작한 방사성 물질이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려야 정상화되는지에 대한 힌트는 얻을 수 있다 ...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지진처럼 규모 8이 넘는 지진의 응력은 지구를 3바퀴 돌아도 지진파의 파동이 살아 있을 정도로 크다. 만일 큰 지진에서 발생한 응력이 지반이 약한 곳이나 응력이 쌓여 있던 곳에 도달하면 또 다른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이런 이유로 “큰 지진 후에는 ...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불과하다. 1초에 한 번씩 흔들면 1022년, 즉 우주 나이의 1조 배에 달하는 시간 동안 한 번 정도 일어날 수 있다. 가만히 내버려 둔 커피가 저절로 끓는 모습을 볼 수 없는 이유다. 이것이 열역학 제2법칙이다. 확률이 물리학에 도입된 것으로, 이로 인해 통계물리라는 학문이 탄생했다.이 상황을 ... ...
이전6546556566576586596606616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