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444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 AI 분야에서 주목할 키워드 '민족주의'와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결정하는 것은 인간과 AI가 될 것”이라며 “그만큼 AI 기술은 과거 산업혁명보다 더
큰
충격을 만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ETRI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볼 수 있다. ... ...
세계위험보고서 1~5위 환경문제…다보스포럼서 환경 문제 집중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실패, 자연재해, 생물다양성 손실, 인간 유발 환경 재난을 2020년대 인류가 마주할 가장
큰
위협으로 판단했다. 2006년부터 발표돼 올해로 15회째를 맞은 세계 위험 보고서에서 환경 관련 문제가 1~5위를 모두 차지 한 것은 처음이다. WEF가 전 세계 경제상황 개선과 관련해 환경 문제 해결을 제일 우선시 ... ...
공중에 서 있는 두 사람
팝뉴스
l
2020.01.20
있는 한 스카이다이빙 모임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공개된 사진은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큰
화제를 일으키며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하늘에서 멈춰서 서 있을 수 있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강하는 동안 두 사람이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포즈를 취했기 때문에 착시 사진이 ... ...
기술무역규모 또 한번 경신…수출액 증가 불구 둔화 조짐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35억 2800만 달러, 기계 17억 3300만 달러 순이다. 기술별로 살펴보면 기술무역규모가 가장
큰
분야는 정보·통신 분야로 114억 7700만 달러를 차지했다. 전기·전자 분야는 101억 5800만 달러, 기계는 30억 4300만 달러, 화학공업은 15억 2200만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네 분야가 전체 91.2%를 차지했다. 기술 ... ...
반짝이던 그 ★ 빛을 잃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단계에 들어섰다는 설명이다. 별은 수소를 헬륨으로 핵융합하며 빛나는데 질량이
큰
별은 죽음에 이르는 속도가 빠르다. 질량이 클수록 중심 온도가 높아 수소를 빠르게 소진하기 때문이다. 수소가 고갈되면 별의 중심은 중력의 영향으로 수축하고 바깥쪽은 팽창하는 적색거성이 된다. ... ...
[영상+]"첫 발사까지 앞으로 1년" 누리호 개발 산실 나로우주센터를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들어왔다. 전영두 항우연 발사체체계종합팀장은 “누리호 1단은 나로호의 지름(2.9m)보다
큰
3.5m에 이른다”고 했다. 누리호 크기를 가늠해볼 만했다. 이날 공개된 1단에는 아직 75t 엔진을 설치하지 않고 연료 배관만 완성된 상태다. 나로호 1단에는 엔진 1기가 들어갔지만 누리호 1단에는 75t급 엔진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홍채 보면 건강을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의는 "홍채에 의존해 건강을 판단한다면 진짜 발견해야 할
큰
병을 놓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제대로 수련받은 의사는 더 이상 홍채만 보고 몸 상태를 짐작하는 위험한 일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임산부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것들'이나 '정신질환 ... ...
MS "탄소네거티브로 간다" 혁신기업들 기후변화 대응전략 잇따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계획이다. 환경단체들은 MS의 이런 결정을 환영했다. 기후변화 대응에 대해 보다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린피스는 MS가 석유 및 가스 관련 기업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해결하는 하는 과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고 밝혔다. 머신러닝 등 인공지능(AI) 기술을 석유와 가스 등 화석연료 ... ...
달 뒷면 착륙1년 맞은 '옥토끼'…"지금도 탐사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풍부한 휘석과 감람석이 존재한다는 연구결과였다. 에이킨 분지는 달의 뒷면에서 가장
큰
충돌구로 지름 2500km, 깊이 13km에 달한다. 과학자들은 약 46억 년 전 지구와 달이 생성된 후 얼마 지나지 않은 41억 년 전 무렵 운석이나 소행성이 달과 충돌해 에이킨 분지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한다. ... ...
세계 최대 갈탄 소비국 독일도 결심했다 "2038년 갈탄 화력발전 OUT"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보다 적은 기존의 천연가스 발전소를 증설할 계획도 갖고 있다. 각국은 독일의 결정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16일 영국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는 “유럽 제1의 경제대국 독일이 역사적인 에너지 전환을 달성하는 데 남아 있던 마지막 장애물을 걷어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 ...
이전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