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강, 그 흐름의 기록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북한강과 임진강은 각각 한강의 양끝에 위치한 지류로 두 강 모두 북한에서 흘러온다. 각 유역의 23%, 63%가 북한에 속해 있고 북한강은 금강산의 비로봉 부근에서, 임진강은 마식령에서 솟아나 북한 땅을 따라 흐르다 군사분계선을 넘는다. 임진강은 경기 연천에서 한탄강과 만난다. 한탄강 ... ...
- [기획] 동물도 쓴다! 사투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대부분의 동물에서는 발성이 유전적으로 결정되지만, 일부 포유류(몇몇 고래류, 기각류, 박쥐, 그리고 인간)와 일부 조류(명금류)에서는 발성이 학습으로 결정됩니다. 사투리는 바로 발성 학습이 일어나는 동물에서 발견됩니다. Q새는 왜 사투리를 쓰나요?여러 가설 중 하나는 사투리를 통해 ... ...
- 수중 생태계, 미학의 과학 아쿠아스케이프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줄기가 땅 위를 기어가며 뿌리를 내리는 수초, 유목이나 돌에 붙어 자라는 수초 등을 각 특성에 맞게 모양을 잡아준다. 심는 방법도 고심한다. 뿌리로 번식하는 식물은 빛이 강한 곳에 흙과 함께 심어야 한다. 이끼, 양치류 등 착생 식물은 빛이 적게 드는 그늘진 곳이나 동굴 속에 둔다. 착생 식물은 ... ...
- [하비맨] 우아한 하비맨의 취미는 피아노 연주수학동아 l2021년 06호
- 그리스 수학자 피타고라스는 음계 사이의 비율을 처음 연구했다고 전해집니다. 현대적 시각으로 보면 그는 두 음의 진동수의 비가 정수로 표현되면 아름다운 화음이 난다고 주장했습니다. 피타고라스는 쇠를 내리치는 망치의 무게로 음 사이의 비율을 실험했다고 전해지는데,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 ...
- [그래프뉴스] 풀과 나무가 많은 도시에 사는 사람이 더 행복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의 녹지 면적과 녹지의 건강한 정도를 조사했어요.연구팀은 각 도시의 건강한 녹지 면적을 전체 인구수로 나눠서 1명이 누릴 수 있는 녹지를 점수로 나타냈어요. 그리고 녹지 점수와 ‘2018 세계행복보고서’, ‘2018 국가별 국내총생산(GDP)’ 자료를 함께 비교 했지요.그 결과 ... ...
- [기획]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배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방언 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하고 있어요. 이 사업이 마무리되면 인공지능은 앞으로 각 지역의 사투리도 알아듣게 될 거예요.솔트룩스는 사투리를 말하는 ‘화자’, 소리를 글로 바꿔줄 ‘전사’, 제대로 작성됐는지 확인하는 ‘검수’ 등 3가지 분야에서 참가자를 모았어요. 참가 자격은 강원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 중력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마찰력이 발생해, 막대가 빠지지 않고 제자리에 고정돼요. 이 다리에 물건을 올리면 각 나무 막대에서 구조 전체로 무게가 분산돼요. 그래서 나무 막대 하나로는 버틸 수 없는 무게를 이 다리는 버틸 수 있답니다 ...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재도입하면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플럼프트레 연구원은 “심각하게 훼손된 지역을 개선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훼손이 적은 지역을 복원해 생태적으로 온전한 지역을 점차 확장하는 일이 더 중요하다”며 “이 복원에 성공한다면 훼손된 지역이 무엇을 잃었는지 ... ...
- [매스크래프트] 혼잡도와 수송력으로 지옥철 탈출!수학동아 l2021년 06호
- 기준으로 79% 이하면 여유, 80~129%면 보통, 130% 이상일 경우 혼잡으로 분류합니다. 그렇다면 각 칸의 인원은 어떻게 확인할까요? 차량마다 무게를 감지하는 하중 감지 센서로 무게를 측정해 확인해요. 만약 사람 한 명의 몸무게를 65kg으로 가정하면 지하철 한 칸의 정원 몸무게는 65×160=10400kg입니다. 이때 ... ...
- [IBSX수학동아] 수학자는 수학세계를 탐험하는 모험가-황준묵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또한 다른 분야의 도구로써 개발된 다양한 이론들은 수학의 일부일 뿐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수학은 인간의 머릿속에서 꾸며낸 것이 아닌, 실체가 있는 것입니다. 202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의 표현을 빌리자면 ‘플라톤적 수학세계’가 존재하는 것을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