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기능도 천차만별이다. 단백질은 세포 안에서 벌어지는 거의 모든 생명 반응에 관여하는 기본단위다. 세포의 핵에서는 유전물질인 DNA를 해독해 필요한 단백질을 끊임없이 만들고 있다. 이렇게 생성된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생체 내 상호작용을 밝혀 생명의 비밀을 푸는 것이 생명과학 연구자들의 ... ...
-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수식이 등장한 뒤 물리학의 기본 개념에는 엄청난 변화가 생겼다. 수식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 이 수식은 시간 변화량(dt)과 공간 변화량(dx, dy, dz)이 각각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 변화량의 제곱과 공간 변화량의 제곱의 차이가 어떤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직원 복지 정책으로 난자 냉동 비용 지원을 내세웠다.난자 냉동은 시험관 아기 시술과 기본적인 원리와 과정이 같다. 차이점은 난자를 얼리느냐, 배아를 얼리느냐다. 주 과장은 “시험관 아기 시술은 이미 40년 이상 된 안정된 시술이지만, 난자 냉동은 이제 10년이 채 안 됐다”며 “배아와 달리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표면을 이루는 크고 작은 조각들이 맨틀의 대류에 의해 움직이고 충돌한다는 판구조론의 기본 아이디어가 구체화 된 것은 사실 50여 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핵무기나 최초의 컴퓨터가 개발된 시기보다 늦은 셈입니다. 대륙은 어떻게 움직일까?1912~1915년 독일의 젊은 과학자 알프레드 베게너는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것은 우리의 과거입니다. 그것이 없으면 우리는 정체성을 잃게 되죠. 그래서 물리학의 기본 전제는 정보가 사라지지 않는 것입니다. 수많은 과학자들이 정보가 사라질 수 없다고 생각했지만, 제가 폭탄선언을 한 이후로 한동안 정보가 보존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칼륨, 실리카 같은 성분이 상대적으로 높으면 물맛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먹는샘물에는 기본적인 미네랄 이외에도 불소 농도도 표기돼 있다. 불소는 충치 예방에 좋지만 너무 높으면 독성 물질이 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인체에 무해한 물 속의 불소 농도를 0.5~1.0ppm으로 권고한다. 또, 성분 ... ...
- [나의 중국 유학 일기] 1인실 기숙사에서 나 혼자 산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3호 동의 방은 여섯 개의 2인실 외에 모두 1인실이다. 내가 사는 방도 1인실이다. 방에 기본으로 갖춰진 가구는 침대와 옷장, 서랍장이다. 화장실도 방마다 달려 있고, 히터 겸용 에어컨도 있다. 기숙사비는 테라스가 있는 1인실을 기준으로 연간 1만6000위안으로, 한화로는 260만 원 정도다. 기숙사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있는 커리큘럼 컴퓨터공학부의 최대 장점 중 하나는 1~4학년의 모든 학생에게 컴퓨터의 기본 원리와 핵심 기술을 집중적으로 가르치는 통일성 있는 커리큘럼이다. 특히 1~2학년에서는 ‘컴퓨터의 개념 및 실습’ ‘컴퓨터 과학적 사고와 실습’ ‘프로그래밍 연습’ 등의 수업을 통해 프로그래밍 ... ...
- [이투스의 입시정보] 전기전자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자동계측, 자동화, 디지털통신 기술 및 영상 신호처리, 고속전기철도 등을 중심으로기본원리부터 응용에 이르기까지 기술적인 방법 등을 다룹니다. * 이투스 이달의 학과 : 전기전자공학부 > 바로가기 -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 자세히 보기 -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 자세히 보기 - 고려대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설계할 차례였습니다. 키 130cm에 시속 약 4km로 움직이는 인간형 로봇을 만드는 것이 기본 사양입니다. 아직까지 세계적으로 이 정도 사양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은 거의 없습니다. 미국에 하나, 일본에 세 개 정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아직 저도 만들지 못했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