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BOOK소리] 게임 속에 빠진다면? 인더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인물이 등장하고, 등장인물들의 용기와 희생,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빛나며 이야기는 끝을 향한다. 책의 말미에는 게임의 리얼리티 모드에 비밀이 있음을 암시하는 장면과, 늘 신중하던 제시가 친구를 위해 다음 모험을 준비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간의 모험을 통해 주인공 제시의 마음이 단단해지고 ... ...
- [도전! 섭섭막사 메이커] 99자 그림을 그려 보자! 하모노그래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들었어요. 하모노그래프에는 실에 추가 달린 형태의 단진자가 달려 있고, 단진자 끝에는 펜이 연결돼 있어요. 추를 당겼다가 놓으면 펜이 함께 일정하게 움직이며, 단진자의 자취를 그린답니다. 알아보자! 구멍을 바꾸면 99가지 그림을! 섭섭박사가 만든 하모노그래프는 99가지의 그림을 그릴 ... ...
- [한페이지 뉴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나팔 소리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뚫은 흔적을 발견했다. 나팔고둥의 겉면에서는 붉은 염료를 바른 흔적도 발견됐다.한쪽 끝에 입술을 대는 취구를 연결해 연주를 재현해보니 C음과 C#음, D음에 가까운 음파 스펙트럼이 나타났다. 캐럴 프리츠 CNRS 선사시대예술연구센터장은 “깊고 독특한 음색을 가졌던 나팔고둥은 그동안 ...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커플을 무리와 따로 격리하면 바로 둥지를 짓고 알을 낳기도 한다. 하 연구원의 설명이 끝나기가 무섭게 번식장 속 황새 한 쌍이 서로 목을 비비며 애정행각을 시작했다. ‘닭살커플’이 따로 없는 모습을 보다 보니 괜히 민망해져 다음 장소로 걸음을 옮겼다.예산황새공원에서 가장 기구한 연애사를 ... ...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납니다. 전압을 걸어줍니다. 무드 등에서 빛이 나오고, 기글즈 입에서 만난 두 전선 끝 사이에 파짓파짓 플라스마가 생성됩니다. 블루투스 마이크를 들고 호다닥 멀리 달아난 키쿠 님이 입을 엽니다.지지직지지직 플라스마가 흐르는 소리 사이로, 키쿠 님 목소리가 튀어나옵니다. 흥을 주체하지 ... ...
- [과동키즈]아픔 앞에 평등한 동물병원을 꿈꾸며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학교 생물 시험은 상대적으로 쉽게 느껴졌다.테니스, 미식축구, 양식학… 방황의 끝에 수의사가 되다수의학에 대해 처음 알게 된 것도 과학동아에서였다. 찌는 듯이 더웠던 중학교 2학년 여름방학, 미지근한 방바닥에 엎드려 잡지를 읽고 있었다. 그때 서울대 수의대 학생이 수의학을 소개하는 ... ...
- [지구사랑탐사대] 곤충박사 팀 김현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파리를 구해와 통에 넣어 주었더니, 아주 잘 먹더라고요. 이후 매일 학원 수업이 끝나면 애벌레가 먹을 제비꽃 이파리를 구해왔어요. Q애벌레가 나비가 되는 과정을 지켜봤다고요?!맞아요. 놀랍게도 애벌레가 번데기, 나비가 된 뒤 짝짓기를 해서 알을 낳는 것까지 관찰할 수 있었어요. 일곱 마리의 ... ...
- [하야부사 2호] 아직 끝나지 않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하야부사 2호의 임무는 이걸로 끝인 걸까요? 놀라운 사실은 아직 하야부사 2호의 임무는 끝나지 않았다는 것! 앞으로 하야부사 2호가 수행할 임무는 과연 무엇일까요? 하야부사 2호는 류구에서 채취한 샘플만 지구로 돌려보내고, 탐사선은 지구로 돌아오지 않은 채 우주에서 다음 임무를 준비하고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말자. ‘전두엽에 힘을 주고’ 남과 나에게 관대해지자.셋째, 코로나19 사태가 끝날 때 내가 무엇을 가장 후회할지 생각하고 하루의 일과를 결정하자. 우선 내 치아와 척추를 보호하지 않으면 나의 통장과 정신에는 굉장한 타격이 있을 테니까 이 닦고 앉아서 뭐라도 하자.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가설에 정확히 부합했습니다. 세포막 카펫에서 코쪽 망막 신경절 세포의 축삭은 끝부분까지 잘 자란 반면, 귀쪽 망막 신경절 세포의 축삭은 자라다가 중간에 멈추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세포가 자라는 속도는 일정하기 때문에 시개 세포의 농도차에 따라 세포의 길이가 달라진다는 것이 증명된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