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987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생리의학상 최초로 아시아 출신 과학자에게 수여됐다. 주인공은 일본의 분자생물학자이자 면역학자인 도네가와 ... 변하는 과정을 밝혀 각각 2016년과 2017년 ‘사이언스’에 발표했으며, 2020년에도 4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신경과학자로서도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 ...
- [기획] 몇 번을 섞어야 무작위일까?수학동아 l2020년 06호
- 992년 페르시 다이아코니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자세한 증명 과정을 담은 논문을 학술지 ‘응용확률론연보’에 발표했습니다.리플 셔플을 8번 이상 했을 때 카드가 무작위로 섞인다는 걸 증명하는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과정을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 스텝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학문을 깊이 파기보다는 인류에게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일을 하고 싶어졌다. 박사학위 논문 최종 심사 당시 그는 “좋은 연구 결과를 내며 순수한 학문적 성과를 추구하는 학자가 아닌, 질병 치료제를 개발해 질병 예방에 직접 도움이 되는 일을 하겠다”고 말했다.그에게 학자의 길을 권했던 ... ...
- 찾았다! 정십이면체 표면을 달리는 직선 경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아카이브’에 정십이면체에서의 사교성 없는 조거를 위한 경로를 이론적으로 설명한 논문이 올라왔어. 자야데브 아트레야 미국 워싱턴대학교 수학과 교수와 데이비드 올리치노 미국 브루클린칼리지 수학과 교수는 정다면체의 격자 표면에 관한 연구를 통해 정십이면체에 사교성 없는 조거를 ... ...
- 오가노이드, 칩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대체할 수 있을 것이란 평을 받았답니다. Q오가노이드 칩도 연구하고 계시다고요?논문으로도 발표할 예정이라 간단하게 설명할게요. 소장이나 폐 조직은 혈관, 면역세포 등과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데, 이를 오가노이드칩으로 구현하려 해요. 소장이나 폐 오가노이드 주변으로 혈관 세포를 배치한 ...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흘러들어가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조사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현재 그 결과를 분석해 논문을 준비 중입니다. 김 교수는 “한강에서만 20μm 이상인 미세플라스틱 수십 조 개가 해마다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시료를 채취해서 추정한 ... ...
- [일본유학일기] ‘고등학교 4학년’ 거쳐야 비로소 시작되는 전공생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시간이 정신없이 흘러간다. 그리고 3학년 때는 학교 수업뿐만 아니라 4학년 때 졸업논문을 쓰기 위한 준비도 시작해야 한다. 이때 평소 관심 있던 연구실 견학을 하거나, 공학부 학생들이 지원할 수 있는 각종 프로젝트 경진대회에 도전하기도 한다. 전자정보공학부 전기과에는 특히 “어떤 ... ...
- [과학뉴스] 화성 지진의 실체가 드러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한 국제 공동 연구팀은 2월 24일 인사이트가 보내준 자료를 토대로 화성의 지질 등에 관한 논문 6건을 발표했답니다. 인사이트는 약 1년 동안 총 174건의 지진을 감지했어요. 150건은 규모가 작고 주파수가 6~12Hz 정도로 높은 반면, 나머지 24건은 규모 3~4에 주파수가 1~2.4Hz 정도로 낮았지요. 저주파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안보인다고 무시하지마! 공기의 힘을 보여주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보일은 1662년, 기체의 부피와 압력의 관계에 대한 법칙을 담은 논문을 발표했어요. 이 논문은 ‘기체의 양과 온도가 일정할 때,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과 기체의 부피는 서로 반비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죠. 이를 ‘보일의 법칙’이라고 해요. 보일의 법칙을 더 간단하게 표현하면 ‘어떤 공간에 ... ...
- [별헤는수학] 랜선으로 떠나는 우주 여행, 이번 정류장은 화성입니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이상의 참가자들이 화성 표면 사진을 보고 표시한 정보를 이용한 겁니다. 2019년에 발표한 논문은 8만 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4만 개로 쪼갠 221장의 사진에 표시한 결과를 분석한 내용이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봄철 화성의 남극에 부는 바람의 흐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어떤가요?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