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고 캐고 지질학자] 호수 속에 석순 있다?! 성류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교수)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 ...
- [그래프뉴스] 우주 아래 같은 파랑은 없다! 천왕성과 해왕성의 '색'다른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움직여서 메탄 안개가 밀려나지 않고 두껍게 쌓여요. 연구를 이끈 패트릭 어윈 옥스퍼드대학교 행성물리학 교수는 “두 행성 모두 푸른빛을 띠게 하는 메탄 기체가 많지만, 뿌연 안개가 두껍게 낀 천왕성의 푸른빛이 더 옅게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용어 설명 기체★ 공기처럼 일정한 ... ...
- [특집] 보이는 대로 믿지 마라! 착시 미술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헉헉, 여러분! 저는 착시 미술을 취재하러 온 의 어린이 기자 오서하입니다.이렇게 높은 건물에 대롱대롱 매달리면 위험하지 않냐고요?후후, 저를 따라오시면 여러분께 엄청난 비밀을 알려드리죠.여행에 앞서 한 가지 주의사항이 있어요. 그건 바로 눈에 보이는 대로 믿지 마라! ▼ 이 ... ...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넓이’가 더 큰 수영장을 찾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여름을 맞아 수영장이 개장했어요. 수콤 수영장과 달콤 수영장 중 더 넓은 곳은 어디일까요? 모양이 다른 직사각형의 크기를 비교해보고, 직사각형의 넓이 구하는 법도 알아봐요.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선 한 변의 길이가 1m인 정사각형이 몇 개 ... ...
- [특집] 인류가 공통으로 좋아하는 향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있다고 해서 찾아봤어! 사람은 향기보다 악취에 더 민감하다!지난 5월 27일, 일본 도쿄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원 오카모토 마사코 교수팀은 우리가 본능적으로 악취를 먼저 알아차린다고 발표했어요.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머리에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씌운 후, 10종류의 냄새 분자를 맡게 ... ...
- [만화 뉴스] 실이 아니라고? 세상에서 가장 큰 세균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보고 이 생물이 세균인 것을 알 수 있었지요.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베레나 카르발류 연구원은 “세균이 다른 미생물보다 작다는 기존의 개념을 뒤집는 발견이었다”고 말했습니다 ... ...
- [가상 인터뷰] 애벌레가 스티로폼을 와그작!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저는 물건을 포장하는 데에 쓰이는 스티로폼도 먹을 수 있어요. 6월 9일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크리스티안 린케 교수팀이 이를 발견해 발표했습니다. 스티로폼은 폴리스티렌이라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연적으로 분해가 잘 되지 않아요. 스티로폼을 먹는다는 걸 어떻게 알아냈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하늘에서 안전하게 떨어지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반응할까요? 이 도롱뇽은 나무 아래로 뛰어내립니다. 5월 23일,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의 크리스천 E. 브라운 박사과정생 연구팀은 떠돌이도롱뇽이 어떻게 나무에서 뛰어내리는지 발표했습니다.크리스천 브라운 연구원은 미국삼나무 위에 사는 동물을 조사하다가 떠돌이도롱뇽을 채집할 때마다 ... ...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둘레’ 구해서 텃밭을 꾸미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수콤과 달콤이 집 앞에 심어둔 초록색 채소들이 텃밭을 가득 메웠어요. 채소를 밟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각자의 텃밭에 울타리를 설치하기로 했지요. 수콤, 달콤과 함께 텃밭을 꾸미며 ‘둘레’에 대해 알아봐요. ...
- [과학 뉴스] 벼룩보다 작은 로봇 게, 레이저로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점프도 할 수 있어요. 다리를 구부리거나 꼬기도 하고요. 5월 25일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재료과학공학과 존 로저스 교수팀은 게가 옆으로 기어가는 모습을 보고 영감을 받아 로봇 게를 만들었다고 발표했지요.연구팀은 열을 잘 견디는 고분자 물질로 게 모양 틀을 만들었어요. 다리가 구부러지는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