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망원경"(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제안한 실험을 진짜 우주에서?!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천문연구원에서 하는 천문학 강연 외에도 천문우주테마파크 탐방, 별자리 강연, 천체 망원경 실습 등이 운영된다.한국천문연구원과 엑스포 과학공원, 국립중앙과학관 등 대전에 있는 첨단 시설을 이용해 천문 우주과학을 즐겨 보자.신청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홈페이지(www.kaas.or.kr)에서 한다. 1 ... ...
- 지구과학 - 망원경으로 본 천문학의 발전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망원경 400년의 역사를 통해 망원경의 발전이 천문학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살펴본다. 망원경의 발전은 때로 한계에 다다랐지만 과학자들은 새로운 기술을 이용해 한계를 극복했다. 오늘날 망원경에는 어떠한 기술이 사용되는지 살펴보고 천문학 발전의 전망을 살펴보자. ...
- 쭈잇, 쭈잇, 찌이~♪ 새소리를 따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녹음한 소리를 스피커로 크게 틀면 소리를 냈던 종의 새들이 주변으로 모여든다. 이 때 망원경을 이용해 새를 관찰한다.❸ 더욱 자세한 관찰을 위해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다. 빠른 새의 사진을 잘 찍으려면 연속촬영을 하는 것이 좋다.❹ 관찰한 새를 도감에 있는 그림과 비교해 어떤 종인지 ...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대한 반증보다는 그 존재를 확증하는 방향으로 결과가 나오고 있다. 2010년 허블망원경 초신성팀은 이 557개의 초신성을 통해 우주의 가속팽창을 99% 이상 확신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그 다음 해 우주의 가속팽창을 발견한 세 사람의 우주론자가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우주를 보는 시각을 ... ...
- 두 개의 태양을 가진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안팎의 공전주기를 갖는 지구형 외계행성을 탐색하기 위해 2009년 발사됐다.케플러 우주망원경은 행성에 의한 별빛가림 방법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 행성이 별을 가로지르면서 별빛이 어두워지는 정도를 관측해 외계행성을 찾는 방법이다. 0.002%의 매우 미약한 빛의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다.행성의 ...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실시간 이미지 데이터를 보는 경험을 할 수는 없었다.성 박사는 “최근 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이 의미있는 관측결과를 잇달아 내놓으면서 일본이나 대만의 연구자들도 사용신청서를 보내고 있다”며 “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은 학술적으로 국제 경쟁력이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는 우리나라에서 사실상 ...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많지? 나도 신종 생물을 찾아 볼까….“두두 두두두~~!”엥? 이게 무슨 소리지? 옆에 있는 망원경 좀 줘봐. 흐음…, 드릴 같이 생긴 게 바다 밑에 있는 땅을 뚫고 있는데? 아~, 해양 지각을 뚫는다는 그과학자들이로군!과학자들이 해양 지각을 뚫어서 맨틀의 샘플을 채취하겠다고 하더라고. 지구의 ... ...
- 우주에서 가장 어두운 행성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이렇게 어두운지 설명할 수는 없다. 외계행성을 찾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케플러우주망원경은 뜨거운 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관측해 이 행성을 발견했다.연구팀은 미세한 밝기 변화를 추적해 이 행성의 반사율을 계산했다. 먼저 행성이 앞에 있을 때 밤 부분의 밝기를 측정했다. 그리고 모항성 ...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질량의 40~70%로 지구 같은 행성을 20만 개 만들고도 남을 양이다.연구를 이끈 미국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I) 마가렛 마익스너 박사는 “천문학의 스케일에서는 눈 깜짝할 순간에 불과한 20여 년 사이에 이정도 먼지가 생겨났다는 건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라며 대마젤란은하에서 보이는 ... ...
- ‘별 엘리베이터’ 킬리만자로과학동아 l2011년 08호
- 길잡이가 되면서 이름이 생겼다. 그래서 고물, 공작, 극락조, 나침반, 날치, 돛, 두루미, 망원경, 물뱀, 시계, 용골, 직각자, 컴퍼스, 카멜레온, 큰부리새, 팔분의, 황새치와 같이 항해에 관련된 용어나 이국의 동물 이름이 많다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