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성
영광
영예
광명
희망
서광
신용
d라이브러리
"
명예
"(으)로 총 868건 검색되었습니다.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돋궈주는 과학교육과 과학문화, 언론 활동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돈과
명예
를 든 사람은 각각 3.1%, 0.4%에 불과했다.이공계 전공을 선택할 때 많은 영향을 준 것은 교사였다. 응답자 중 31.4%가 교사의 영향으로 이공계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놀라운 것은 과학 관련 서적이나 영화가 영향을 준 ... ...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서로 연결돼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있으니 얼마나 놀랍냐”며 진지하게 대답했다.돈이나
명예
보다는 세상의 구조를 아는 것이 재미있다는 양 교수는 요즘 양자암호 연구에 매달리고 있다. 정보이론과 양자역학의 원리를 이용해 만든 암호로 절대로 깨지지 않는다고 한다. 양자컴퓨터는 현재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출생.•나이: 1929년 1월 3일생(현재 76세).•소속: 인텔 은퇴(
명예
회장). 집적회로를 발명한 로버트 노이스와 함께 1968년 인텔 창립 후 1987년까지 CEO로 활동.•전공: 물리화학박사(미국 캘리포니아공대).•법칙: 2년에 2배씩 반도체 집적도가 증가. 발표 당시 1년에 2배로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지금의 19단 열풍을 낳고 있다고 진단한다.수학계 석학인 한양대 수학과 김용운
명예
교수는 라디오 인터뷰에서 19단 열풍 뒤에는 “상업주의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언론과 기관들이 19단이 좋다고 선전하고 있는데 이는 19단이 가르치기 쉽고 한번 배우면 아이들 실력이 눈에 띄게 ... ...
땅속 찌든 때까지 씻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그래서 그는 연구실 밖에서도 녹색소비자연대, 한국환경과학기술협의회, 환경부
명예
환경감사관 등 다양한 사회참여를 통해 환경복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한국은 현재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적인 수준이지요. 그러니 교토의정서가 적용되기 전에 빨리 온실가스 ... ...
풍력, 제2의 벤처 바람 몰고 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부사장은 “앞으로 10년 후”라고 단언한다.풍력은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율 1위라는 불
명예
스런 타이틀에서 벗어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영덕풍력단지가 가동될 경우 연간 9만3600t의 이산화탄소가 감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런 추세라면 국내에서도 더 이상 IT 벤처 갑부들이 아니라 풍력발전 벤처 ... ...
"박테리아를 연구하는 생물공학계의 뽀빠이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아시아차세대리더2002년∼현재 생물정보연구센터 소장2004년∼현재 호주 퀸스랜드대학교
명예
교수한국과학기술원의 젊은 교수1964년 서울에서 태어난 이상엽 박사는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생물화학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어요. 그리고 29세의 나이에 ... ...
특수상대론 쉽고, 일반상대론 어려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이 조사에는 모두 157명이 참가했다. 설문 문항은 과학문화진흥회 김제완 회장(서울대
명예
교수)이 출제했다.조사 결과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99명(63%)이 ‘어느 정도 이해한다’고 밝혔다. ‘완전히 이해한다’고 답한 학생도 20명(13%)이나 됐다.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오늘날 울름 곳곳에서 인용되고 있다. 또 1949년 울름 시가 아인슈타인 70세 생일 기념으로
명예
시민을 수여하겠다는 제의를 했을 때 그가 비공식적으로 거절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한 사람이 말년에 아인슈타인에게 죽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고 한다. 아인슈타인의 대답은 다음과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먼저였을 것으로 봅니다.”국내 양계업계의 산증인인 서울대 동물자원과학과 오봉국
명예
교수의 말이다. 오 교수에 따르면 인류가 닭을 키우게 된 것은 새벽, 일정한 시간이 되면 울어대는 닭의 습성 때문. 수탉이 자기 영역을 주장하는 행동이다.오 교수는 “선사시대 우리 조상들은 맹수가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