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높은 압력으로 고
밀도
상태를 만들어야하는데 같은 극끼리는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해 고
밀도
상태가 되기 어렵다.하지만 1996년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LNL)의 물리학자 맥스 타박의 아이디어 덕분에 펨토초 레이저는 천덕꾸러기 신세를 면하게 됐다. 국립점화설비연구소가 추진 중인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점이다. 이것은 끈이론을 통해 여분차원의 다양한 조건을 계산하면 다양한 진공에너지
밀도
(우주상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얻은 우주상수들 중에 우리우주와 같은 우주상수도 있어야 한다.하지만 현재까지 초끈이론의 범주에서 수학적으로 얻은 우주상수 중 값이 양수인 우주상수는 ... ...
수학으로 우사인 볼트를 더 빨리 뛰게 만들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2240m의 고지대란 점도 기록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됐다. 고도가 높으면 공기
밀도
가 적어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육상경기의 세계신기록은 고도 1000m까지만 허용된다. 배로우 교수는 고도가 1000m일 때 볼트가 0.03초 정도 기록을 줄이며 9초 45의 세계신기록을 세울 수 있다고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될 수 있었다.오늘날 물리학자들은 우주상수를 ‘진공이 원래 가진 고유 에너지의
밀도
’로 본다. 양자역학에 따르면, 진공은 물질과 에너지가 없는 상태가 아니다. 입자와 반입자가 끊임없이 생겨나고 다시 서로 충돌해 끊임없이 사라지는 상태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가 나온다. 우주는 이 진공 ... ...
기름 먹는 신소재, 원유 유출 해결책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물질은 기름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났다. 물에 기름을 띄어놓고 이 물질을 떨어뜨리자
밀도
가 낮아 물에 둥둥 떠다니면서 기름을 흡수하기 시작했다. 자신의 무게보다 100배나 많은 기름을 흡수했으며 불을 붙여 흡수한 기름을 날려 보내고 나면 재활용도 가능했다. 하심 박사는 “바다에 기름이 ... ...
화학생물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있다.합성 고분자 플라스틱 같은 생활용품 재료뿐만 아니라 차세대 디스플레이, 초 고
밀도
집적 회로 반도체와 같은 최첨단 전자 제품의 핵심 부품을 만든다. 각종 나노구조물 생산, 복잡한 화학플랜트 안전장치 제어, 친환경적 공정 개발에도 쓰인다.화학생물공학은 단백질이나 DNA처럼 생체물질을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보인다. 크기는 해왕성과 지구의 중간 정도다(해왕성은 태양계에서 4번째로 크다).
밀도
는 지구의 반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구처럼 대부분 바위로 이뤄진 것은 아닐 것이다. 목성처럼 작은 바위 덩어리 위에 수소와 헬륨으로 이뤄진 대기권이 있을 수도 있고 해왕성처럼 조금 더 큰 바위 덩어리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다이아몬드 행성은 별이 줄어들다가 남은 잔해인 것으로 분석됐으며 목성보다는 무겁고
밀도
가 높으며 하얀 색의 빛을 발하는 백색왜성이다.연구진은 이 다이아몬드 행성이 대부분 탄소와 산소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수소나 헬륨처럼 가벼운 원소로 구성된 별은 이같은 형태나 외관으로 관찰되기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핵심적인 특성들에 변화가 일어난다.만약 α 값이 지금보다 작으면 고체 원자 물질의
밀도
가 줄어들어 분자 간 결합이 낮은 온도에서도 깨지고 만다. 그Kornmesser렇게 되면 주기율표에서 안정적인 원소의 수가 늘어날 수 있다. 이런 화학적 변화로 세상의 모습은 확 달라진다.반면 α 값이 너무 커지면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여기에다 *케플러법칙과 *활력방정식 같은 수학적 계산을 거친 뒤에야 행성의 질량과
밀도
를 알 수 있다.이런 수학적 방법을 이용해 지금까지 모두 2,326개의 외계 행성을 찾았다. 이 중 48개의 행성이 외계생명체가 살 수 있다고 여겨진다.*케플러법칙 : 행성의 운동에 대한 물리법칙. 행성의 운동을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