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로봇 손 재난 현장 돕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사람이 하기 힘든 일을 대신할 수 있어요.1월 20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조정산 박사팀은 재난 현장에서 사용하는 특수 로봇을 공개했어요. 사람이 탑승하여 조종하는 이 로봇은 두 개의 로봇 손을 가지고 있어요. 왼손으로는 다양한 물체를 쥘 수 있고, 오른손으로는 장애물을 자르거나 부술 수 ... ...
- [기획] 개미는 뚠뚠 오늘도 보물을 찾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두둥! 평화로운 개미 나라에 사는 일개미 세 자매가 보물을 발견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보물은 아니고 맛있는 사탕이 있는 곳을 알려주는 지도를 발견했죠. ... 있어요!” ★ 도움전중환(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최지범(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 ... ...
- [기획] “간단한 수학만으로도 개미를 연구할 수 있어요!”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원리를 밝힌 걸까? _ INTERVIEW Q 이번 연구는 어떻게 하게 됐나요?함께 연구했던 박사님이 마침 개미 전문가라 평소에도 개미에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를 많이 나누곤 했습니다. 연구의 아이디어도 실험실에서 회의를 하던 중에 얻었습니다. ‘개미도 빛처럼 페르마의 원리를 따르지 않을까?’ ...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돌아다니며 나무를 관찰하고, 이야기를 나누었지요. OO나무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소지현 박사님 이야기를 들어 보세요! 꽃이 없으면 수피로! 식물 구분법얼룩덜룩 수피가 떨어진 나무의 정체는 바로 모과나무예요. 모과나무는 기자의 눈에 조금 이상해 보였어요. 잎이 하나도 없는 앙상한 나무 ... ...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연구자로 살고 있다. 박새별 연세대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안테나뮤직 소속 뮤지션으로 ‘새벽별’ ‘하이힐’ ‘Ballades OP.3’ 등의 음반을 발표했다. 정승환의 ‘이 바보야’와 린의 ‘이별의 온도’ 등 다양한 곡의 작곡, 작사 및 프로듀싱에도 ... ...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Sideroxylon grandiflorum)’예요. 1977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생태학자 스텐리 템플 박사는 모리셔스에서 도도나무를 발견했어요. 13그루만이 남았었고 모두 300살 정도였죠. 이 나무는 자신의 열매를 도도새가 먹고 배설해야만 새로운 싹이 날 수 있는 데, 도도새가 멸종한 후 번식하지 못해 멸종위기에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육면체 모양 웜뱃 똥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부위가 같이 움직이면서 장의 단면이 사각형 형태가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양 박사후연구원은 “웜뱃이 육면체 똥을 싸는 원리를 연구하면 다양한 소재로 육면체 형태의 물체를 만들 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소프트 매터’ 1월 21일자에 실렸습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오랜 유학 생활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습니다. 3월부터 서울대학교에서 수리과학분야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내게 됐어요. 제가 좋아하는 파이데이를 한국에서 보낼 수 있어서 더 기쁘네요. 제가 연구하는 군론도 파이데이에 빠질 수 없겠죠? 대칭을 연구하는 군론과 원의 관계를 함께 알아봅시다 ...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집합론은 주어진 조건에 맞는 대상을 모아놓은 ‘집합’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죠. 이후 박사 학위를 받은 시에르핀스키는 우크라이나 리비우대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집합론을 가르쳤습니다. 그리고 동료 수학자들과 함께 1920년 위상수학과 집합론, 논리학, 수리 철학 등을 전문으로 다루는 학술지 ...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높이는 물질이죠. 우주생물학 전문가인 송인옥 한국과학영재학교 교사(천문학 박사)는 “과학자들은 ‘생명체가 존재하는가’라는 추상적인 질문을 ‘물이 액체로 존재하는가’라는 과학적인 질문으로 바꿔 묻고 있다”며 “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곧 천체에 생명체가 존재할 만한 에너지가 있다는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