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익룡, 진짜 깃털인지 어떻게 알았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하지만 그 당시의 화석 증거는 더 찾아봐야 합니다. Q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요?이미
발견
된 익룡 화석 중 깃털의 흔적을 놓친 것은 있지 않나 살펴볼 계획이에요. 이를 통해 익룡 깃털의 진화 과정을 알아보려 합니다 ... ...
[가상 인터뷰] 산호는 회전 초밥처럼 음식을 먹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만들었지요. 연구팀은 영상을 분석해 형광 구슬들이 산호 표면 위에서 움직이는 것을
발견
했어요.형광 구슬이 어떻게 움직였나요?형광 구슬들은 산호 표면 위에서 한 방향으로 우르르 이동했어요. 이 모습이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죠. 영상을 확대해 봤더니 이 ... ...
[기획] 우주의 소리 메아리 블랙홀의 협주곡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우주에는 소리가 아예 없을 줄 알았는데, 우주에서도 소리가 퍼지는 곳이 있대! 바로 우주의 메아리가 울려 퍼지는 곳이라고 하는데…! 블랙홀의 소 ... 참여한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물리학과 매트 루소 교수는 “우주에서 음악적 리듬과 패턴을
발견
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답니다 ... ...
블랙홀이 시간 차 트림을 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블랙홀 가까운 곳의 밀도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여러 경우를 꼼 꼼히 따져봐도 이번
발견
은 ‘조석교란현상과 함께 어떤 전파가 방출됐지만 뒤늦게 관측된 사례’가 아니었다. 애초에 시간 차를 두고 트림이 시작된 것은 아닐까새로운 가설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처음부터 전파가 늦게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통해 여덟 건의 연구가 출판되었다. 탐사 도중 신종 희귀 양서류인 노랑배청개구리가
발견
되기도 했고, 희귀종인 수원청개구리를 보호하기 위한 서식지 복원 사업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그러나 가장 큰 변화를 맛본 사람은 시민과학 프로젝트에 참가한 사람들 본인이다. 10년 동안 ... ...
[힉스 10년] 1000만 힉스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기존의 이론으로는 계산되지 않는,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광자 쌍 이상 신호(bump)가
발견
됐다는 뉴스였다. 이전에 검출된 힉스보다 ‘무거운 힉스’가 검출됐을 가능성, 또는 완전히 새로운 입자가 검출돼 표준모형을 확장할 가능성이 있었다. 표준모형을 넘어선 이론으로 각광받는 ‘초대칭 ... ...
[논문탐독] 화석이 보여주는 탄생의 자세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전에 없던 무언가가 나타나는 이미지를 떠올리곤 합니다. 하지만 고생물학의 다양한
발견
들은 한번 잘 확립된 특징들이 매우 오랫동안 생물계에 남아 있다는 사실을 잘 보여줍니다. 진화의 위대한 점은 바로 이 점에 있는지도 모릅니다. 최승. 중국과학원 척추동물 고생물학 및 고인류학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현장을 관찰할 수 있어요! 나비 안리도 대원 곶자왈탐사대 팀탐사 생물 나비
발견
위치 제주 애월읍 하정주 매니저날개의 무늬가 마치 다른 동물의 눈처럼 보이지 않나요? 궁금해요!서진하 대원헤클보이 팀 Q제 신발에 붙어 있던 이 애벌레는 어떤 종인가요? 추헌철 나비 ... ...
[특집] 깃털의 기원 2억 50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고생물학자들은 이번
발견
으로 첫 번째 깃털이 기존의 생각보다 훨씬 앞당겨진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진화했을지도 모른다고 추측합니 ...
발견
되었다는 것은, 익룡과 공룡의 공통 조상이 이미 깃털을 가지고 있었다는 뜻이거든요. 지금까지 깃털이
발견
된 동물은 어떤 종류가 있었을까요 ... ...
[기획] 바닷속 소리터널 지구 온난화 진행 상황을 알려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합니다. 1944년 4월 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 모리스 유잉 연구원팀이 처음 이 층을
발견
했지요. 연구팀은 소리의 이동 거리에 관한 연구를 하려고 물속에서 소리를 탐지하는 수중 청음기를 배에 매달아 연구소 근처 바닷속 700m에서 1300m 사이에 넣었어요. 그리곤 수중 청음기로부터 약 1700km 떨어진 배에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