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리지날
원시
최초
고유
자체
정통
원조
d라이브러리
"
본래
"(으)로 총 79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냄새를 맡을 수 있다고 하니 신빙성이 있는 이야기다. 쥐도 넘나들지 못하는 철조망
본래
생태섬에 존재하는 생물종의 수는 외부로부터 이주하는 종수와 관련이 많은데,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맨 윗단계인 육식동물들의 이주가 이루어지지 않으니 생태계의 교란으로 멸종속도는 빨라질 수밖에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우주에 겁을 낸 나머지 우주상수를 도입하여 우주의 팽창을 막으려 하였다. 시공간이
본래
는 팽창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우주 안의 모든 물질의 인력을 상쇄하여 정지우주가 가능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 후에 그는 이 우주상수의 도입을 '그의 최대의 실수'라고 하였다.□ 프리드만의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발표된 자기증식(self-reproduction) 자동자이론을 진일보시킨 것이다. 자동자(오토메타)는
본래
생물의 행동을 흉내내는 자동기계를 뜻하였으나 컴퓨터의 출현으로 인간의 두뇌처럼 정보를 처리하는 기계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러한 자동자의 개념을 더욱 확장시킨 것이 폰 노이만의 이론이다. 그는 ... ...
자외선 오존층 뚫고 지구 위협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지역에서 적응되었던 자외선의 광도가 갑자기 증가되면 인지감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본래
자외선 광도가 나타나는 위도의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약 20년 전에 아프리카 지역에 서식했던 소위 범벌(killer bee)이라는 벌들이 남아메리카로 옮긴 경우가 바로 그것이다 ... ...
산성비가 몰려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해당하는 0.03mm에 불과한 것이다. 이처럼 한정된 공기를 인간이 살아 가면서 더럽히고
본래
의 공기 성분이 아닌 각종 오염물질을 공기중에 내뿜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빗물의 pH가 5.6이하일 때 산성비수중기를 제외한 깨끗하고 건조한 공기 중에는 질소 78.09%, 산소 20.95%, 아르곤 0.93%, 탄산가스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실제로 추위보다는 더위를 못 참는다.둘째 호랑이는 인도에는 있고 스리랑카에는 없다.
본래
스리랑카의 포유동물은 인도 대륙과는 공통종 또는 근연종(近緣種)이어서 코끼리 멧돼지 늘보 곰 표범 따위는 두 곳에 다 있는데, 호랑이만 없다.보르네오는 스리랑카보다도 포유동물상(相)이 특수하고 ... ...
(2) 첨단과학에 이용되는 인공보석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중요한 재료로 자리잡고 있다. 인공보석의 단결정은 규칙적으로 원자가 배열돼 물질
본래
의 성질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같은 성질에 따라 신소재 개발의 토대인 물성 측정 및 재료 응용기술이 가능한 것이다.인공보석은 단순히 장신구용보다는 값이 싸고 균일한 질의 물질을 양산할 수 있는 ... ...
스포츠가 건강 파괴할 수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의해 몸과 마음에 상상 이상으로 큰 스트레스가 부하된다는 것. 스트레스 반응 자체는
본래
몸의 방어반응으로, 순간적으로 혈당치나 혈압, 맥박을 높여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매일 스포츠를 하는 사람은 이같은 신체반응을 매일 일으킨다는 이야기가 되므로 몸에 부담을 주지 않을 수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전공인 아인슈타인과는 몇몇 시험과목이 달랐으나 모두 5점대는 확보하고 있었다.
본래
아인슈타인이 들어가고 싶어했던 베버 교수의 조교 자리는 기계공학 전공의 카를 시르트가 차지했다.이렇게 해서 아인슈타인은 취직의 출발점에서 갑작스레 모교 밖으로 쫓겨나는 아픈 경험을 겪어야 했다.왜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고밀도기록에는 원자간력 현미경(原子間力 顯微鏡)이 사용됐다. 원자간력 현미경은
본래
아주 가는 탐침(探針)을 물질의 원자에 접근시킨 경우 생기는 원자간력(밀고 당기는 힘)을 이용, 탐침이 일정한 원자간력을 받을 수 있도록 물질표면을 주사시켜 그 모습을 관찰하는 장치. 실험에서는 이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