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생각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사실 외계인이 보낸 로봇이라고 고백한 거예요! 여러분은 친구가 살과 뼈, 단백질과 유전자로 이루어진 사람이 아니라, 기계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에 큰 충격을 받겠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나와 대화를 즐기던 친구가 갑자기 생각할 수 없는 존재가 되는 건 아니랍니다. 기계나 컴퓨터는 무조건 ... ...
- [과학뉴스] ISS로 간 식중독균, 우주 생활 적응 중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관련이 없어 ISS 우주비행사에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유전자분석 전문 저널 ‘엠시스템즈(mSystems)’ 1월 8일자에 게재됐다. doi:10.1128/mSystems.00281-1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시알리데이스는 당단백질이나 당지질을 구성하는 당인 시알산을 분해하는 효소다. 희귀 유전병인 시알산증은 이 효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해 발생하는데, 뇌 속에 점액지질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돼 발달장애, 지적장애, 경련 등에 시달린다. 연구팀은 그동안 확인된 인간의 시알리데이스와 동일한 ... ...
- Part 3. 변신 3- 누가 돼지를 둔하다고 했나 감각적인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많았어요. 개는 보통 1100개 정도의 후각 수용체 유전자를 지니거든요. 이는 후각 수용체 유전자를 400여 개 가진 사람의 3배에 달하는 수준이랍니다. ● 인터뷰 - 조앤 레프슨(남아프리카공화국 농장 보호구역 책임자) “동물에게도 제각각 성격과 재능이 있답니다!” Q 픽카소가 그림에 소질이 ... ...
- [과학뉴스] 태아 성별 결정하는 메커니즘 밝혔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들 증강인자가 없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성별 결정에 SOX9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증강인자 세 개의 유무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했다. 크로프트 연구원은 “지금까지 성 발달 장애 환자의 경우 성염색체에만 주목했지만, 이번 연구로 증강인자에 시선을 돌렸다는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규정 마련 시급 국내에서는 2009년 국립축산과학원이 초급성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제거한 형질전환 돼지를 개발했다. 특히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은 2016년 12월 돼지의 췌도를 원숭이에게 직접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이종이식학회는 ‘췌도 이식을 받은 ...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관찰했다. 세포가 죽는 수(세포독성), DNA가 손상되거나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정도(유전독성), 세포내 활성산소가 증가하는 정도(산화스트레스), 세포내 염증유발인자가 증가하는 정도(염증반응) 등 발생원별로 성분마다 독성을 측정했다. 그 결과 디젤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초미세먼지에서는 모든 ... ...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위해서도 수십 년 동안 변신해 왔단다. 그 결과 장기 이식을 위해 세균을 모두 없애거나 유전자가 바뀐 돼지들이 탄생했지. 돼지, 이종장기 이식의 떠오르는 스타?! 이종장기 이식은 다른 동물의 장기를 이식하는 걸 뜻해요. 돼지의 심장을 원숭이에게 이식하는 것처럼요. 1963년, 미국 툴레인대학교 ... ...
- [과학뉴스] 바이러스로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높여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환자에게만 효과가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신장암에 걸린 쥐의 종양 내에 유전자를 조작한 바이러스를 투입했다. 그 결과 면역세포인 T세포의 양이 증가하면서 종양이 면역항암제가 작용할 수 있는 염증성 종양으로 바뀌었다. 김 교수는 “바이러스와 면역관문억제제(PD-1, CTLA-4)를 함께 ... ...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따라 자국에만 서식하는 생물의 유전자가 귀중한 자원으로 인식되는 추세다. 생물의 유전 정보가 앞으로 어떻게 활용될지, 그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이항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남한은 인구밀도가 너무 높아 더 이상 호랑이가 살 수 없지만, 북한의 백두산과 개마고원 일대는 가능성이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