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원"(으)로 총 2,4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환경이나 생김새 등 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변화가 신종을 만들어냈다는 사실을 알았어. 난 환경이 특이하거나 다른 사람이 가기 힘든 곳부터 가 보기로 했어. 이제 본격적으로 신종 탐험에 나서 볼까?밀림에서 새 포유동물을 찾을 수 있다?열대우림은 신종을 포함한 신비한 동물이 ... ...
- INTRO. [머글편] 신비한 동물 사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안녕~! 내 이름은 뉴트 스캐맨더. 마법 세계와 *머글 세계를 오가며 신비한 마법 동물을 연구하고 있는 마법사야. 머글 세계에 나타난다는 마법 동물을 잡으러 뉴욕까지 왔는데, 세상에! 마법의 가방이 열려서 그 안에 보관해 두었던 마법 동물들이 죄다 탈출해 버렸지 뭐야.잃어버린 동물들을 찾으 ... ...
- 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생물의 대부분이 한 시기에 갑자기!캄브리아기 초기부터 중기까지인 ‘생물 폭발 시기’에는 갑자기 생물들이 우르르 등장했어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시기에 지구 생물 대부분의 조상이 탄생했다는 점이에요.일반적으로 생물을 분류할 때 ‘종속과목강문계’의 일곱 가지 그룹을 사용해요.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쓰레기가 줄어듦에 따라 쓰레기 수거 비용도 줄었다고 합니다.둘째 날에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안지환 박사님의 ‘Better life for girls’ 강연을 들었습니다. 인도 소녀들은 월경할 때 공중 화장실을 사용하는 것이 부끄러워 집에 머문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학교 공부를 2016 ...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있답니다. 즉, 이 지역들은 활성단층의 영향을 받기 쉬운 편이라고 할 수 있지요.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이윤수 책임연구원은 “양산단층대는 2300만 년 전 이후 지금까지 큰 지각변동을 여러번 겪으며 에너지가 쌓인 지역”이라며 “이번 지진은 이 에너지가 분출되는 과정으로 보인다”고 밝혔어요. ... ...
- [현장취재] 왕귀뚜라미 대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몸을 떨며 울음소리를 내는 승리의 세레모니를 하고, 패자는 도망가지요(5단계).”드디어 자원 확보 능력과 패자효과를 확인해 볼 왕귀뚜라미 대전이 시작됐어요. 그런데 정작 귀뚜라미들은 싸울 생각이 없어 보였어요. 대부분 한 녀석이 시비를 걸어도 다른 녀석이 겁을 먹고 도망가기 바빠 싸움은 ...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7월 23일 밤 10시 경, 고요하던 북한산국립공원에 큰 웃음소리가 울려퍼졌어요. 무슨 일일까요? 힌트는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지구사랑탐사대 여름 캠프가 열렸단 사실! 깊은 밤, 그곳에서는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요?지구사랑탐사대 여름 숲 캠프란?올해 지구사랑탐사대 여름 캠프에는 160명의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친구들~, 안녕! 나는 수심 2000~4000m의 깊은 바다에 사는 귀염둥이 문어 ‘그림포텔우티스’라고 해. 만화 속에서 귀를 펄럭이며 하늘을 나는 코끼리, 덤보를 닮았다고 해서 ‘덤보문어’라고도 불리지. 이렇게 내가 너희를 찾아온 이유는 꼭 하고 싶은 말이 있어서야. 우리 아빠가 그러는데…, 미래는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하지만 그 전에 해결해야할 큰 산이 있다. 정치적 이슈다. 사실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을 비롯한 국내 연구진은 2007년과 2011년 두 번에 걸쳐 북한측의 요청으로 백두산 공동연구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첫 시도는 이듬해 들어선 신정부가 남북경색 조치를 취하며 ... ...
- Part 1. 제2의 지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더 오랫동안 살 수 있는 방법들을 연구하고 있어요. 태양열이나 지열 같은 석유의 대체자원 연구는 물론, 에너지 재활용 등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의 수명이 언젠가는 다할 것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아요. 그래서 스티븐 호킹 교수를 포함한 많은 과학자들은 미래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