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급
유포
전개
전달
전파망원경
망원경
파설
d라이브러리
"
전파
"(으)로 총 1,89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어렵지않게 깨달을 수 있었다. 맥스웰이 전자기학을 연구하면서
전파
를 예언하고, 빛도
전파
의 일종이라고 지적하던 것도 바로 그 무렵이었다. 맥스웰처럼 위대한 물리학자도 등잔 밑은 어두웠던 것이다. 추측컨대 맥스웰 본인에게는 ‘작은 존재(악마)’가 머릿속 골칫덩이가 아니라 사람이 얻을 ... ...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전파
망원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거대
전파
망원경 프로젝트 SKA(Square Kilometre Array) 유치를 놓고 경쟁하고 있다. 25억 달러(약 2조 8000억 원) 규모의 이 거대
전파
망원경은 현존하는 다른 어떤
전파
망원경보다 50배 이상 선명하고 1만 배 이상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온도와 염도가 크게 다른 평면이 무지개떡처럼 겹겹이 쌓인 공간이 바로 바다다.
전파
나 초음파는 물리적 성질이 다른 물끼리 맞닿은 경계를 만날 때마다 굴절이나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사용하던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큰돈을 들여 개발한다 해도 바다 속 통신 기술이 시장성이 ... ...
세계 최대
전파
망원경 유치 경쟁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점을 내세우고 있다. 호주는 머치슨 지역이 주민이 거의 없다는 점을 강조했고, 남아공은
전파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법률 조항을 제정했다. 대규모 과학기술 제휴 프로젝트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양국의 경쟁이 더욱 심화될 예정이다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동해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생산하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 ‘한반도’가 최근
전파
를 탔다. 드라마처럼 되려면 사실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러나 최근 일본과 미국이 실제 생산을 위한 첫 행보를 시작해 주목을 받고 있다.일본, 심해저에서 첫 시험생산 시작하다지난 2월 14일, 일본 아이치현 남쪽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현재 온 우주에 가득차 있는데 워낙 낮은 온도의 빛이라 눈으로는 감지되지 않고 오로지
전파
영역에서만 관측이 된다.1940년대에 이론적으로 예측된 이 빛은 1960년대부터 꾸준히 관측되어 1978년과 2006년 두 번에 걸쳐 노벨물리학상의 대상이 되었다. ‘우주배경복사’라고 불리는 이 빛은 오늘날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아주 중요한 수단이라고 해. 그런데 태양 에너지라면 흑점이 폭발하면서 나오는 거 아냐?
전파
를 이상하게 만들어서 지구엔 별로 안 좋은 영향을 준다고 알고 있는데….빛이 닿는 면적을 넓혀라!태양 에너지는 아직은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에 비해 많은 전기를 생산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햇빛이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외계의 신호를 받는데 그치지 않고, 외계에 지구의 메시지를 보냈다. 그는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을 이용해 헤라클레스자리 *구상성단 M13을 향해 1679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신호를 발사했다. M13까지의 거리는 2만 4000광년으로, 이를 받은 외계인이 보낸 답장을 받을 때까지 4만 8000년을 기다려야 한다.이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드넓은 바다 위에서는 잘 보이지도 않는 희미한 불빛일 뿐이었고, 빛의 속도로 달리는
전파
도 구조선을 빨리 끌고 올 능력은 없었다. 불과 며칠 전세간의 주목을 받으며 첫 항해에 나섰던 거대한 배는 역사상 가장 유명한 침몰 사건으로 기록에 남았다. 그 유명한 타이타닉 얘기다. 타이타닉이 첫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약 4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지구보다 5배 정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주기적으로
전파
나 엑스선을 방출하는 중성자별을 발견하고 그 별을 관찰하다가 주변을 맴도는 다이아몬드 행성을 찾았다고 설명했다. 이 다이아몬드 행성은 별이 줄어들다가 남은 잔해인 것으로 분석됐으며 목성보다는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